음식 중독 의미, '배가 고프지 않아도 많이 먹는다면?'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음식 중독 의미가 화제다.

음식 중독은 니코틴이나 알코올, 약물, 도박, 쇼핑, 게임 등 우리에게 익숙한 중독 증상들과 그 본질이 같다. 스스로 통제가 되지 않고, 점점 더 자극적인 것을 원하게 되며, 끊었을 때 금단 현상이 나타난다.

음식 중독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음식은 "단맛이 강한 초콜릿이나 과자, 밀가루 음식 등 정제 탄수화물"이다. 이를 영어권에서는 'highly palatable food'라고 정의한다. '뇌의 보상 시스템을 자극해서 또다시 찾게 하는 중독성 강한 맛'이라는 의미다.

일반적으로 굶는 다이어트를 자주 하는 사람들은 음식을 즐거움으로 인식하는 '쾌감 회로'가 오히려 강하게 발달한다. 다이어트에 대한 일종의 심리적 보상이다. 다이어트를 통해 음식에 대한 쾌감 회로가 강해지면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더 큰 기쁨을 느낀다. 이런 쾌감을 유지하기 위해 배가 고프지 않더라도 음식을 계속 섭취한다. 그렇기 때문에 굶는 다이어트는 '음식 중독'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반복하는 사람은 불규칙하게 굶거나 고열량 음식을 섭취하는 행위를 반복한다. 결국, 우리 몸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시스템이 망가져버린다. 뇌가 완전히 성숙하지 않은 청소년들에게 이처럼 굶는 다이어트가 특히 해로운 이유다. 청소년기의 음식 중독은 성인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뇌 보상체계가 영구적으로 변하기 전에 조기 치료가 중요한 이유다.

무엇보다 스트레스를 음식으로만 해소하려는 습관을 바꿔야 한다.

음식중독 자가 테스트

다음에 해당되는 항목이 있으면 전문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 배가 너무 불러 불편할 정도가 될 때까지 많이 먹는다
□ 배가 고프지 않아도 많이 먹는다
□ 음식을 먹은 뒤 일부러 구토를 한다
□ 주말이나 저녁에 몰아서 폭식한다
□ 과식 후 자신에 대해 혐오감·우울감·죄책감을 느낀다

음식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일단 숙면을 취해야 한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숙면을 못하고 숙면을 못하면 밤에도 스트레스 호르몬이 올라가 있고 당이 떨어지는 걸 몸이 견디지 못하기 때문에 깨어있는 동안 단 음식을 찾게 되는 원리다. 또한 단백질은 충분히 먹어도 상관없다. 과식과 폭식을 할 수 있는 것은 탄수화물만 가능하다. 폭식은 지방, 소금, 당분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단백질은 폭식할 수가 없다. 그리고 식단을 구성할 때 중독에 빠질 수 있는 음식을 일주일에 한두번 정도로 줄이고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 줄 수 있는 음식으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온라인 중앙일보 [사진 중앙포토]
'음식 중독 의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