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 퇴직이 세계경제 위협"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조기 퇴직이 세계경제를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밝혔다.

OECD는 10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출산이 줄고 있어 정년을 높여 중장년층의 노동기간을 늘리지 않으면 2050년께 OECD 국가의 경제성장률은 연 1.7%로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OECD는 경제활동 인구의 부양 부담이 크게 늘 것으로 전망했다. 2001년에 OECD 국가에서 경제활동 인구 10명이 부양해야 할 비경제활동 인구는 4명이었으나 2050년에는 10명이 7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것. 일하는 사람의 부담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난다는 얘기다.

특히 유럽에서 이런 현상이 심화돼 경제활동 인구 한 명이 비경제활동 인구 한 명을 부양해야 할 것으로 OECD는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생산성이 향상되는 속도보다 임금과 사회보장 비용이 더 빨리 늘어나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OECD 국가 가운데 2050년께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3분의 1에 달하는 한국.일본.이탈리아 등의 충격이 클 것으로 전망됐다. 미국.멕시코.터키 등은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4분의 1로 상대적으로 충격이 덜할 것으로 보인다.

김준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