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ADHD 증상, 충동적으로 행동…질병 원인은 스트레스? '깜짝'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성인 ADHD(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는 보통 어렸을 때 ADHD를 겪은 뒤 완치되지 않아 그 증세가 성인이 되어서도 나타나는 장애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는 성인 ADHD 환자가 전체 인구의 약 2~4%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이는 어린이 환자 비율인 5%(가벼운 경우는 약 8%)의 절반 정도에 해당한다. 어려서 ADHD를 겪은 사람의 절반이 성인 ADHD로 고통 받는다는 뜻이다. 이들 중 상당수가 부주의함에 따른 무능력과 무기력으로 고통받는다.

성인 ADHD 환자는 지나치게 충동적으로 행동하는 증세를 보인다. 이들은 계획성이 없고 거짓말을 자주 하며 반사회적인 행동을 해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기도 한다. 또 한 가지 일에 꾸준히 집중하지 못해 직장에서의 근무태만 등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크다.

이런 ADHD의 원인은 유전과 뇌 발달 결함이다. 특히 억제와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부분의 성장이 정상적인 사람에 비해 약 2~3년가량 뒤처져 있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뇌 발달의 지연은 사람이 성장하며 극복할 수도 있으나 환자 스스로는 자신의 생물학적 이상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상태가 악화되기도 한다.

한편 스트레스도 성인 ADHD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어린 시절 ADHD를 앓지 않더라도 성인이 된 후 스트레스 조절에 실패하면 성인 ADHD에 걸릴 수 있다는 의미다.

ADHD 치료에는 약물 치료가 대표적이며 약 80%가 가시적인 호전을 본다. 이들은 집중력, 기억력, 학습능력 등이 향상되며 과잉활동과 충동성이 감소돼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해진다.

온라인 중앙일보
‘성인 ADHD 증상’ [사진 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