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서 섬유류·합금철·강재 수입규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일본이 섬유류·합금철·강재 등의 수입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한국·브라질 등 개도국의 대일 수출에 적신호가 되고 있다.
1일 한국산업 경제 기술 연구원(KIET)에 따르면 일본 섬유업계는 한국·파키스탄산 면사에 대해 덤핑 관세 및 상계 관세부과를 정부당국에 요구한데 이어 개도국산 합금철에도 덤핑제소 준비를 하고 있으며 이같은 움직임은 자체 철강 제품에까지 확대될 가능성이 짙어지고 있다.
일본방직협회는 한국·파키스탄 등 개도국으로부터 면사수입이 급증하자 지난해 12월27일 최초로 대장성에 덤핑제소를 했다.
82년 면사수입 물량이 약 60만고리(1고리=1백81kg)로 81년보다 50%늘어나자 섬유업체에서 덤핑을 제소하기에 이른 것이다.
일본 섬유업계는 지난해 상반기 이래 한국은 일본 국내 가격보다 10∼20% 낮은 가격으로 수출하고 있으며 파키스탄은 7.5%(선적가격기준)상당분의 수출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본의 총 면사 수입량중 50%는 한국이, 40%는 파키스탄이 차지하고 있다.
합금 철제조업계도 브라질 등 개도국에서 수입하는 가격이 t당 16만∼18만엔으로 일본 국내 가격 22만∼26만엔보다 헐값이라고 덤핑제소를 검토 중에 있다.
이 같은 수입규제 움직임은 한국산 강재에까지 파급될 전망이다.
일본은 강재 소비중 수입량이 차지하는 비중이 82년에 3.1%밖에 안되는데도 후판·핫코일 등 수입이 늘어나자 철강업계가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강재는 전체 수입물량중 한국산이 70%를 점하고 있으며 대만·브라질산 순으로 그 다음 수입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