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이 쑥!] 논지 뼈대 추려 다시 써 보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3면

논술 앞에선 여전히 움츠러드는 학생이 많다.

오죽하면 "사람이 걷고 뛰기까지 오랫동안 기어다니고 또 넘어지면서 끈질기게 걸음마 훈련을 하는 과정이 있듯 학생이 난다긴다할 정도로 논술을 잘하게 되기까지 끈질기게 기초 능력을 쌓아가는 과정이 필요하다"('논술 지도 매뉴얼', 서울시교육청 발간)고 조언하겠는가. '논술 지도 매뉴얼'에서 '날고 길' 정도의 논술 실력을 갖추는 비결을 배워 보자.

◆어찌 쓸지 모를 땐=초급 과정에선 독해 능력을 키우는 게 선결이다. 대략 1500~2000자 사이의, 서론-본론-결론의 완결된 구조를 갖춘 글을 읽어 보자. 시사적인 글과 원론적인 글은 물론, 고전 명문도 함께 읽는 게 바람직하다.

글을 읽을 때 글이 말하고자 하는 바, 즉 전체 핵심 논지를 파악하는 게 중요하다. 그리고 각 단락이 핵심 논지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다. 주장의 근거가 되는 논거를 찾는 연습도 해야 한다. 논거가 적절한지, 보편타당한지 평가해 보는 것도 좋다. 글을 요약하는 것도 좋은 습관이다.

문장 쓰기는 기본 중 기본이다. 한발 더 나아가 논리적으로 쓰는 연습도 필요하다. 흔히 글을 쓸 때 독자의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이들이 많다. 독자가 다 알고 있는 것으로 착각, 문장 성분을 지나치게 생략하거나 논리를 비약시키지는 않는지 주의해야 한다.

접속어나 지시어를 정확히 사용할 수 있도록 익혀 두자.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말이 있듯 어휘는 저마다 고유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장 속에서의 쓰임에 따라 독특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사실 또한 기억해야 한다.

하나의 단락은 작은 한 편의 글이다. 주제 문장이 있고, 이를 뒷받침할 문장이 있으며 이들 사이에 논리적 연관성과 체계성이 존재한다. 좋은 단락을 쓰는 것은 논술의 첫걸음이다. 언제 어떻게 단락을 나눠야 할지 어리둥절해 하는 학생이 많은데 ▶중심 화제나 서술 대상의 변화▶시간과 장소의 변화▶등장 인물이나 시점의 변화▶원인이나 근거를 따로 제시할 경우▶비유.예시.인용.부연.첨가.보충하고자 할 때 등이란 점을 기억해 두면 편리할 것이다.

◆쓸 준비가 된 후에는=논술문 작성엔 절차가 있다. 우선 논제를 분석하는 단계다(①). 제시문과 논제를 분석해 출제 의도를 파악하고 논술 문항이 요구하는 사항을 이해하는 단계다. 그 다음이 주제 혹은 주장을 세우는 단계다(②). 자신이 궁극적으로 제시할 의견이나 주장(핵심 논지)을 정한다. 그 다음 단계에선 글감이나 논지를 마련해야 한다(③). 핵심 논지를 구체화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수집한다. 특히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논거로 무엇을 제시할지를 정해야 한다. 이때 명심할 게 있다. 논지가 정확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 다양할수록, 참신할수록 좋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문학 작품이나 명문 고전에서 인용할 때 상투적이거나 진부하지는 않은지 신경 써야 한다. 일상적이고 소박한 논거가 오히려 호소력을 가질 때가 있단 점 또한 기억하자.

다음이 구상하기 단계다(④). 글의 전개 방식과, 서론-본론-결론의 틀, 몇 개의 단락으로 구성할지를 정한다. 이뿐 아니라 각각의 단락에 어떤 내용을 다룰지도 결정해야 한다. 셋째 단계에서 수집한 글감을 어떻게 배치하고 둘째 단계에서 정한 주제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지 정하는 단계다.

개요 작성 단계(⑤)에선 앞서 구상한 내용을 바탕으로 글의 전체적인 윤곽이나 줄거리를 구체적으로 짠다. 머릿속으로 구상한 내용을 실제 종이 위로 옮기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개요 작성 단계에서 그린 설계도에 따라 실제 논술문을 쓰는 단계(⑥)가 그 다음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새로운 글을 쓰는 게 아니다. 이미 쓰기로 마음먹고 생각한 내용을 문장으로 표현하며 구체화할 뿐이다. 마지막으로 완성된 글을 전체적으로 읽어 보면서 수정하는 퇴고하기 단계가 있다(⑦). 막상 글을 쓸 때 이런 절차를 모두 다 지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주제 설정하기(②)→구상하기(④)→개요 작성하기(⑤)→논술문 쓰기(⑥)의 과정을 거치는 게 바람직하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