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표 "연정론 NO" 쐐기박을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다음주 예상되는 노무현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단독 회담에선 무슨 얘기가 오갈까.

먼저 노 대통령이 회동을 제의한 배경이자 이유가 된 '대연정론'이 핵심 의제가 될 전망이다. 지금껏 연정에 대해 무시 전략으로 일관해 온 한나라당은 "이 문제를 먼저 제기하진 않겠지만 노 대통령이 말을 꺼내면 피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노 대통령은 '직설 화법'으로 연정이 지역주의 정치구도 타파를 위한 결단이라는 점을 강조할 것이다. 또 연정이 한나라당에 좋은 것이며, 의심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가 지난 7월 당원들에게 보낸 서신에서 밝힌 것처럼 새로운 역사를 위한 한나라당의 결단을 요구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민생 우선론'과 '헌법 위배론'을 내세워 "연정론을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을 분명히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연정론의 원천인 노 대통령에게 직접 거부의사를 밝힘으로써 더 이상 이 문제가 정치권의 이슈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는 얘기다. 박 대표는 2일 대전 시당대회에서도 "연정은 이미 여러 차례 밝혔듯 불가능한 일"이라고 못박았다. 양측은 서로의 강한 입장을 의식해서인지 "만나서 얘기를 직접 듣는 것만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본다"고 조심스러워 한다.

선거구제 개편 문제도 주요 의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선거구제는 국회의원 개개인의 정치생명과 관련이 있는 만큼 박 대표는 기존 당론인 소선거구제를 고수할 것이다. 노 대통령은 "지역주의 타파를 위해 중대선거제가 도입돼야 한다"고 압박할 것이다.

박 대표는 경제 문제에서 공세로 전환한다는 전략이다. 전여옥 대변인은 "무엇보다 민생고에 시달리는 국민의 목소리를 그대로 전달한다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민생 경제가 우선이다"는 원칙 아래 정부가 발표한 '8.31 부동산 종합대책'과 조세정책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짚는다는 구상이다. 특히 과감한 감세정책의 실시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노 대통령은 "지속가능한 경제를 뒷받침하기 위해 정치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논리로 민생경제 우선론에 맞설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표는 대북 문제와 관련, 북핵과 북한의 인권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