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소비자 불신만 부른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8면

지난 12일 열린 ‘한국판 블랙프라이데이’ 행사는 소비자 불만만 키운 반쪽 행사로 끝났다. 미국 유통업계의 최대 할인 행사인 ‘블랙 프라이데이’를 본뜬 이 행사는 시작부터 큰 관심을 끌었다. 11번가·롯데닷컴·갤러리아몰 등 국내 대표 온라인몰 10곳이 참여해 ‘대한민국이 반값 되는 날’이란 문구를 내걸고 유명 상품을 최대 70%까지 깎아준다고 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막상 뚜껑을 열고 보니 ‘반값 할인’은 소비자를 끌어오기 위한 ‘미끼’에 불과했다.

 11번가는 오전 9시 고가 패딩점퍼인 캐나다구스를 50% 할인 판매했지만 준비한 수량은 고작 36벌이었다. 6분48초 만에 품절됐다. 폴스미스 목도리 101개는 2분53초 만에 매진됐다. 할인 판매가 시작되고 2~3분 만에 품절되는 일이 하루 종일 되풀이됐다. CJ몰 등 몇몇 업체는 서버에 과부하가 걸려 한동안 홈페이지에 접속조차 할 수 없었다. 한 쇼핑몰이 15만 개를 발행했다고 자랑한 ‘전 품목 50% 할인 쿠폰’은 최대 할인액이 1만원이어서 ‘속았다’고 분통을 터뜨리는 고객이 많았다. 그럼에도 행사 후 해당 업체들은 자랑만 늘어놓았다. 거래액이 당초 예상한 1000억원을 훨씬 넘는 1500억원이라며 성공작이었다고 자평했다. 소비자 불편·불만에 대해선 일언반구도 없었다.

 소비의 글로벌화는 피할 수 없는 대세다. 기업이 독점해 소비자로부터 중간 이익을 취했던 국제 무역 구조는 큰 틀에서부터 무너지고 있다. 개개의 소비자가 동의하지 않는 수준의 중간이익을 취하는 유통 기업은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 그게 현실로 입증된 게 이번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때 나타난 국내 소비자의 해외직구 열풍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만들었다는 ‘한국판 블프’가 고작 이 수준이란 게 될 말인가. 그래 놓고 내년에도 또 이런 행사를 열겠다는 말이 나오나. 물론 올해 처음 연 행사가 완벽할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럴수록 일회성 행사보다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에 파는 유통업의 본질에 충실해야 한다. 소비자는 한 번 속아 문 미끼에 계속 입질하는 붕어가 아니다. 하물며 세계 최고의 똑똑한 소비를 자랑하는 한국 소비자들임에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