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대 노총 불참 … ILO 부산총회 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이 26일 국제노동기구(ILO) 부산총회 불참 방침을 재확인했다. 따라서 우려했던 대로 ILO 총회의 연기가 불가피해졌다.

양대 노총은 이날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노동 탄압이 계속되고 있는 한국의 노.정 관계 속에서 ILO 총회를 정상적으로 치를 수 없다"며 "한국 총회가 성공하려면 정부의 노.정 관계 복원을 위한 가시적인 노력이 먼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한국의 노.사.정이 함께 유치한 ILO 아시아.태평양지역 총회의 연기가 확정됐다.

양대 노총은 총회 불참 이유에 대해 "진정 부끄러운 것은 불참이 아니라 국제 기준에 뒤떨어진 후진적인 노동정책"이라며 총회 연기 책임을 정부로 돌렸다. 노동계는 국제자유노련(ICFTU)과 ILO 노동자그룹도 자신들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양대 노총은 "반노동자적 정부는 노동자의 권리를 증진시키고 양질의 고용을 확산시키고자 하는 ILO 총회를 개최할 자격이 없다"고 정부를 비난했다.

노동계는 또 국무총리 또는 대통령과의 직접 대화를 제안했다.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은 "진정한 노.정 관계 복원을 위해서는 국무총리나 대통령이 직접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노동부 관계자는 "노동계가 행사를 무산시킨 책임을 정부에 떠넘기고 있다"며 "자신들이 동의하고 준비해온 국제행사를 스스로 무산시킨 것은 국제적으로도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ILO는 10월께 각국 대표급으로 구성된 고위급 조사단을 한국에 파견, 노.정 관계를 진단하기로 했다. ILO는 일단 총회를 내년 2~3월께로 연기하더라도 장소(부산)를 변경하지 않을 방침이지만 한국의 노.정 관계가 계속 악화될 경우엔 개최지를 변경할 가능성도 있다.

ILO 총회는 10월 10~13일 '아시아지역 양질의 고용 달성'을 주제로 부산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양대 노총이 총회 불참 방침과 행사지를 변경하자는 입장을 밝히면서 개최 여부가 불투명해졌었다.

정철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