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세 인상' 움직임 풀 죽은 부동산 펀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정부가 부동산 보유세 강화 움직임을 보이면서 부동산펀드 등 간접투자 상품들도 잔뜩 움츠러들고 있다.

세금이 오르면 사무용 건물 등을 사들여 임대 수익을 얻는 부동산펀드의 수익률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한 때 대안 투자로 각광받던 부동산펀드의 인기도 주춤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부동산 보유세율이 크게 오를 경우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CR리츠)와 임대형 부동산펀드 등 간접 상품의 수익률도 타격을 받게 된다.

이들은 건축 과정에서 자금을 빌려주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F)형 부동산펀드와 달리 실제 건물을 사들여 보유하기 때문에 세금 부담을 피할 수 없다. 현재 국내 CR리츠 자산규모는 1조5000억원, 임대형 부동산펀드는 3000억~4000억원 규모다.

임대형 부동산펀드는 문제가 더 크다. CR리츠는 그나마 조세특례제한법에 따라 보유 부동산을 합산하지 않고 분리과세하는 혜택을 보고 있지만 임대형 부동산펀드는 여기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총 2450억원 규모의 임대형 부동산 펀드를 운용중인 맵스자산운용의 김승길 팀장은 "간접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일단 임대형 부동산펀드도 CR리츠 수준의 분리과세 혜택을 정부에 건의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 세금 문제와 부동산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최근 부동산펀드의 인기는 시들한 편이다. 부동산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6월 1390억원 수준에서 올해 7월말 1조9580억원까지 급증했으나 5월 이후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고 8월 들어서는 설정액 자체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대우증권 상품개발마케팅부 김명환 과장은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투기적인 개인 직접 투자를 겨냥한 것이라면 간접투자 상품인 부동산펀드 등에 대해서는 세제 혜택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