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긴장감을 늦추지는 말 것"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사진 YTN 뉴스화면 캡처]

라이베리아 대통령이 비상사태 해제를 선언했다. 재난 상황 지속으로 인힌 국가적 손실이 막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13일(현지시간) 엘렌 존슨설리프 라이베리아 대통령은 국영 ELBC 라디오 방송을 통해 비상사태 해제를 선언했다. 이날 존슨설리프 대통령은 “에볼라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끝내서가 아니다. 바이러스를 우리 나라에서 뿌리 뽑을 때까지 싸울 여력이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는 에볼라 감염 둔화세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라이베리아 정부는 이번 주 신규 감염사례가 매일 최고 500건 이상에서 50여건 정도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 3월 서아프리카에서 에볼라 바이러스가 퍼진 이래 라이베리아가 감염자 6822명, 사망자 2836명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았다.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 기니,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가 4개국에서는 1만4098명이 감염됐고 5160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상황을 전체적인 진정 국면으로 보기에는 이르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에볼라가 진정세를 보이다 다시 확산된 사례가 있는 데다 인근 시에라리온과 말리에서는 에볼라가 번지고 있기 때문이다.

설리프 대통령은 “전체적으로는 희망적이지만 여전히 농촌에서 위험지역이 속출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죽어가고 있다”며 긴장감을 늦추지 말 것을 당부했다. 이어 “이번 크리스마스까지 라이베리아에서 1명의 추가 에볼라 감염자도 안 나오는 게 국가적 목표다”고 덧붙였다. 또 라이베리아 정부는 학교와 시장을 열고 국가를 정상화 시켜야한다고 역설했다.

라이베리아는 지난 8월 6일 에볼라의 확산이 정부의 통제 수준을 넘어섰다면서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한 바 있다. 라이베리아는 국경 폐쇄, 통행금지 및 강제 격리, 학교 폐쇄, 대중집회 제한 등 강력한 조치를 취했다.

한편 라이베리아의 설리프 대통령은 아프리카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다. 하버드 대학을 졸업했으며, 아프리카의 ‘철의 여인’으로 불린다. 지난 2011년에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라이베리아 비상사태 해제’ [사진 YTN 뉴스화면 캡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