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싱크탱크, 독도 분쟁지역 표기…의회조사국 보고서에도 병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美 싱크탱크 독도 분쟁지역 표기’[사진 YTN 화면 캡처]

미국 워싱턴의 대표적인 싱크탱크인 전략문제연구소(CSIS)가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해 논란이 되고 있다.

CSIS는 12일 개최한 ‘2015 글로벌 전망’ 세미나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해양분쟁 동향을 소개하는 온라인 사이트인 ‘아시아 해양 투명성 이니셔티브(AMTI·http://amti.csis.org)’를 소개했다. 이 자리에서 CSIS는 독도를 분쟁지역으로 표기했다.

CSIS 측은 이날 공개한 동영상에서 독도를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다오) 열도와 함께 분쟁지역을 뜻하는 붉은색으로 표기한 지도를 실어 독도가 분쟁지역임을 시사했다.

이에 한 한국계 청중은 “독도를 공개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도 지도와 사진 등을 통해 교묘하게 독도를 분쟁지역인 것처럼 느끼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온라인 사이트 제작과 동영상은 CSIS의 일본실(석좌 마이클 그린 박사)이 주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워싱턴 조야에서 국제해양법 등을 앞세워 독도를 국제법적 분쟁지역으로 만들려는 이른바 ‘분쟁지역화 전략’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이번 동영상도 이 같은 전략의 일환으로 보인다.

현재 일본은 A급 전범 용의자 출신인 사사가와 료이치가 설립한 사사카와 평화재단 등을 통해 일본 관련 세미나와 콘퍼런스를 직접 주관하거나 후원하는 데에 막대한 돈을 쏟아부으면서 미국 내에서 친일 여론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미국 의회조사국(CRS)이 최근 펴낸 한·일관계 보고서(6.24)와 미·일관계 보고서(9.24)도 화제가 되고 있다. 이 보고서에에는 독도/다케시마(Dokdo/Takeshima Islets) 또는 다케시마/독도(Dokdo/Takeshima Islets)라고 병기한 것으로 확인됐다.

독도와 다케시마를 병기함으로써 독도가 분쟁지역인 것과 같은 인상을 주는 것이다. 이는 ‘독도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국제법적으로 한국 고유의 영토이며 분쟁지역이 아니다’는 우리 정부의 입장과 정면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온라인 중앙일보
‘美 싱크탱크 독도 분쟁지역 표기’[사진 YTN 화면 캡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