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가 다시 직장으로 돌아갈 땐 "돈 벌겠다"는 생각 뚜렷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3면

직장을 갖고 싶어 하는 주부들이 늘고 있다. 인터넷 취업포털 잡링크에 따르면 지난달 재취업하기 위해 취업기관에 이력서를 등록한 기혼 여성 구직자는 4만2914명으로 지난해 10월 조사 때보다 36.8%가 늘었다. 결혼과 육아 등의 이유로 직장을 떠난 주부가 보통 3~4년에서 많게는 10년이 넘는 공백을 깨고 재취업에 성공하기란 생각만큼 쉽지 않다. KT 수도권고객센터에서 3년째 근무 중인 윤문원(34) 팀장. 결혼과 함께 직장을 그만뒀다가 7년 만에 재취업에 성공한 윤 팀장을 만나 재취업 성공담을 들어봤다.

윤 팀장이 하는 일은 KT 고객센터로 걸려오는 각종 문의 전화에 응대하는 일이다. 그는 똑 부러지는 일처리로 재취업한 지 2년6개월 만에 팀장으로 승진했다. 팀장이 된 뒤에는 상담원들을 교육하거나 상담원들이 처리하지 못하는 고객들의 까다로운 민원을 처리한다. 윤 팀장은 KT의 정식 직원이 아니다. 엄밀하게 말하면 KT가 콜센터의 외주를 맡긴 ㈜아이앤씨엠이란 회사 직원이다. "매일 아침 눈을 뜨면서 감사의 마음을 새깁니다. 아침에 출근할 곳이 있다는 사실이 너무 행복합니다. 어느 회사 소속인지, 월급이 얼마나 되는지는 중요치 않죠."

윤 팀장은 "재취업하려는 주부는 왜 직장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뚜렷한 동기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두 가지 이유가 있었다고 했다. 가정에 경제적인 보탬을 주고, 일을 통해 성취감을 맛보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일을 통해 성취감만 얻으려는 주부라면 꼭 직업을 구할 필요는 없다고 그는 덧붙였다. 취미생활이나 자원봉사활동으로도 보람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주부가 재취업에 성공하려면 자신이 해봤던 일이 아니라 하고 싶은 일자리를 찾아야 합니다." 윤 팀장은 결혼 전에는 모 보일러회사에서 서무 일을 했었다. 그는 "다른 사람과 대화하는 것을 무척 좋아한다"며 "그래서 상담원 일을 택했고, 현재 즐겁게 일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팀장은 주부가 재취업하기에 앞서 남편의 이해를 구하는 것이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편이 가사를 분담해 주지 않는다면 주부가 재취업한다고 해도 안정적으로 계속 일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윤 팀장의 경우 회사원인 남편(37)이 적극 도와준다고 했다. 윤 팀장이 늦게 퇴근할 때는 남편이 일찍 퇴근해 볶음밥 같은 간단한 요리를 해 아이들을 보살핀다는 것이다.

윤 팀장은 그러나 초등학교 3학년(10)과 1학년(8)인 두 딸 얘기가 나오자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3년 전 일을 다시 시작했을 때 '엄마와 떨어지지 않겠다'며 울먹이는 아이들을 뒤로 한 채 출근해야 했다"며 말을 흐렸다. 윤 팀장은 "그때마다 더 훌륭한 엄마가 되겠다고 다짐하곤 했다"며 "아이들이 다행히 이젠 많이 익숙해진 것 같지만 곁에서 투정을 받아주지 못하는 엄마의 마음은 여전히 시리다"고 했다. "늘 바쁜 남편만 바라보며 아이들과 부대끼다가 재취업 후에는 삶에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물론 남편이나 아이들과 사이도 더 좋아졌죠."

윤 팀장은 "열두 번을 생각해도 재취업하기를 잘했다"며 활짝 웃었다.

글=장정훈, 사진=임현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