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시장육성해 내자조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정부는 주식공개에 의한 내자동원은 이제 한계에 이르렀다고 판단, 회사상등 채권발행에 중점을 두기로하고 채권시장 육성대책을 마련,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했다. 8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저금리시대로 진입한 작년 하반기이후 채권시장이 활황을 보여 예상이상의 발행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올들어 3월말까지 회사채발행실적은 4천2백25억원으르 작년 동기보다 1백35% 증가했고 계획에 비해서도 1천2백25억원 초과했다.
금리가 낮아지자 은행(저축성예금)으로 갈돈이 상권시장에 몰리기 때문이다.
당국은 4윌한달동안에 2천5백억원의 채권이 신규 소화될 것으로 보고있다.
정부는 상권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자본시장을 통한 내자동원은 회사채등 채권발행에 역점을 두기로 했다.
이방침에 따라 채권의 인수·소화능력을 높이기위해 ▲제3의 투자신탁회사를 서둘러 설립하고(7월개점계획) ▲증권회사의 대형화를 추진하며 ▲유통시장의 활성화를 추진하는등 육성대책을 마련,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회사채를 발행, 자금을 조달하는 기업들의 상환부담을 덜어주기위해 장기분의 발행을 유도하기로하고 상환기간 4년짜리이상과 무보증사채는 한도외로 무제한 발행할수 있도록했다.
올해 회사채발행계획은 1조2천억원인데 수요추세를보아 이를 대폭 늘릴방침이다.
양곡채권·전력채권등 국공채의 발행계획은 1조5천억원이다.
한편 주식공개는 작년에 단2건(30억원)에 그친데 이어 올들어서 1·4분기중에는 전무한 실정이다.
당국은 유상증자까지 합쳐 공모를 통해 4천억원의 내자를 동원한다는 계획이나 신규공개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현대건설의 공개여부가 관심사인데 아직 구체적인 움직임은 없다.
정부가 선정한 공개가능기업은 27개(작년도선정)이나 공개기업에 대한 우대정책을 지양정책을 지양하겠다는 것이 정부방침이어서 이들중 대부분 공개를 꺼릴 것으로 보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