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7개 시·군 미화원 파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충남도내 7개 시.군 환경미화원 200여명이 27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에는 보령.아산.서산시와 태안.당진.서천.부여군 등 7개 시.군 소속 9개 청소대행업체 직원들이 참가했다.

이에 따라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장마철을 맞은 이들 지역에서 쓰레기 처리에 큰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들 시.군에서는 하루 평균 687t(충남 전체의 38%)의 쓰레기가 배출된다.

충남도내 환경미화원 노동조합(충남공공환경산업노조) 소속인 이들은 ▶주 5일 근무에 따른 휴일 수당을 지급하고▶직급별로 57~59세인 조합원 정년을 60세로 통일시키며▶퇴직금을 퇴직 시기에 일괄 지급해 달라는 등 3가지 사항을 사용자측에 요구하고 있다. 노사 양측은 4월부터 여섯 차례 협상을 벌여 지난 24일 충남지방노동위원회 조정으로 현재 매년 연말에 지급하는 퇴직금을 퇴직 시기에 일괄 지급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휴일 수당 지급'과 '퇴직 정년 단일화'에 대해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노조측은 토요일에 일할 경우 휴일 근로로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럴 경우 하루 4만9000원의 수당이 지급된다.

반면 사측은 토요일은 휴일로 볼 수 없다는 노동부 근로 지침에 따라 연장 근무 수당(8시간 기준 4만5370원)을 주겠다는 입장이다.

노조측은 지난 20일 조합원 205명 중 180명이 참석한 가운데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 94%의 찬성을 얻어 파업을 결정했다.

한편 충남도는 이날 해당 시.군 소속 환경미화원과 가로 청소 미화원 등 130여명을 투입, 쓰레기 수거에 나섰다. 파업이 일주일 이상 지속되면 공공 근로자를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그러나 직영 환경미화원이 5명에 불과하거나 전혀 없는 부여와 서천군의 경우 이날부터 쓰레기 수거가 제대로 안 돼 주민들이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충남공공환경산업노조는 이날 "자치단체가 환경미화원을 소모품으로 취급하고 주 5일 근무에 따른 수당 지급 등 모든 부분에서 공무원 기준과 민간인 기준을 제멋대로 적용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노조측은 다음달 4일에는 예산군 환경미화원 50명과 충남도 도로 보수원 30명을 추가로 참가시키는 등 다른 시.군까지 파업을 확대할 방침이다.

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