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화수입 개방추세 |검열은 자치적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영화는 이제 회복될 수 없는 사양산업일까. 텔리비전을 비롯하여 다양하고 폭넓은 오락매체가 보급되면서 대중예술의 왕자구실을 하던 영화는 차차 뒷전으로 물러나고 있는 실정. 이와함께 국내영화산업도 침체상태가 극에 이르자 정부의 영화정책에 대한 비만의 소리가 높아가고 있고 정부도 영화산업육성책에 부심한 나머지 오는 16, 17일 양일간 영화진흥공사주최로 영화법개정공청회를 갖기에 이르렀다. 이를 계기로 세계각국의 영화산업보호·지원정책의 현황을 알아본다.
이 자료는 미국서 발행된 81년도판 『국체영화연감』(International Motion Picture Almanac) 에 따른 것이다.
각국의 영화진흥 정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것은 ⓛ소재와 검열의 완화 ②제작비지원 ③면세 ④시나리오작가지원등이다.

<성인용은 검열없어>
스웨덴과 덴마크는 성인용영화에 대해선 아예 검열이란 제도가 없다. 따라서 소재에 대한 제약도 없으며 다만 난폭하거나 비인간적인 면만은 영화인 스스로가 규제하도록하고 있다.각국의 검열은 자치기구로 운영되며 정부가 직접 관여하는 나라는 거의 없다. 핀란드의 경우는 검열위윈회에 의해 부결되었을 때엔 제작자를 참적시켜 의견을 들은뒤 다시 결정하는데 부결되는 경우는 드물다.
아르헨티나는 영화보호정책이 가장 잘된 나라중의 하나. 영화산업발전을 위해 대통령직속으로 영화진흥기구를 두고있으며 제작비의 70%까지 지원하고 있다.

<적자때도 손해없게>
이밖에 제작자의 흥행수입이 제작비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액을 보조하고 있어 결국은 어떠한 경우에도 제작자의 기업상의 손실을 막아주고 있다.

<입장권에 복권붙여>
브라질은 입장권에 엄청난 액수의 복권을 곁들여 관객을 유치하고 있으며 우수영화에 대해선 제작비의 10%, 최우수영화에 대해선 15%를 보조하고 있다. 벨기에는 입장세 가운데 극영화는 80%, 문화영화는 25%, 뉴스영화는 5%를 제작자들에게 보조금으로 지급해주고 있다. 이밖에 핀란드·이탈리아·스웨덴·스위스·서독등이 어떤 형태로든 제작비지원을 명문화하고 있다. 특히 이탈리아·스위스등은 시나리오 작가에 대해서도 지원하고 있는데 이탈리아의 경우는 영화상영일로부터 5년간에 걸친 총수입의 0·4%를 시나리오 작가에게 지급토록하고 있다.

<1인당 연19편 관람>
동남아에 있어서의 영화산업육성정책은 싱가포르의 경우 인구 2백20만명에 극장이 73개 (서울은 인구8백70만명에 80개), 80년중 총 관람인원은 3천9백50만명으로 한사람이 19번씩 극장을 찾은 셈이다. 이같은 수치는 홍콩·필리핀·자유중국·태국·인도네시아등 동남아국가가 거의 비슷한 형편이다.
외화수입도 지금 세계적으로 거의 자유화추세다.
한해에 20여편꼴로 엄격히 묶여있는 우리나라와는 크게 차이가 난다.

<평균2백여편 수입>
64년부터 외화수입자유화가 이루어진 일본의 경우 80년 한햇동안 수입한 외화는 1백96편(자국영화제작 3백35편).
이밖에 인도네시아 5백90편, 그리스 5백편, 스위스 3백91편, 필리핀 3백88편, 멕시코 3백17편, 브라질 3백편, 폴란드 2백93편, 자유중국 2백30편등 대부분의 나라가 2백편이상으로 엄청난 숫자를 기록하고 있다. <김준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