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골목과 골목사이 '계동 100년 시간여행'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서울 종로구 계동(桂洞)은 북촌의 한옥들, 40년 넘은 세탁소, 새로 생겨나는 카페와 식당들이 공존하는 동네다.

 “시간의 층이 겹겹이 쌓인 100년의 지층(地層)” 환경·조경 디자이너인 서준원(36·여)씨는 계동을 이렇게 표현했다.

계동의 명소 100곳을 담은 강혜숙 작가의 일러스트 지도 일부. 중앙의 50번 건물은 60년대에 양은냄비 공장이었던 물나무 흑백사진관, 91번은 층층이 쌓인 한옥지붕을 볼 수 있는 골목이다. [일러스트 강혜숙, 공간잇기]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914년 계동이라는 명칭이 등록된 지 올해로 100년. 그간 이 공간을 스쳐간 시간들은 저마다 흔적을 남겼다. 서씨는 뜻이 맞는 사진작가 강다원(32·여)씨와 지난 14개월동안 계동을 조사해 ‘계동 100년, 시간을 품은 지도’를 만들었다. 100곳의 명소를 네 가지 색으로 표시했다. 일제시대, 한국전쟁·새마을운동, 산업화 시대, 현재 등으로 카테고리를 나눴다. 한 장소가 변한 곳은 여러 개의 색으로 표시했다. 공간의 이야기를 발굴해 하나로 잇는 작업(공간잇기 프로젝트)이다. 서씨는 지난해 말 7년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며 받은 퇴직금으로 이 작업을 해왔다.

 서씨를 단박에 사로잡은 건 2010년 전통방식으로 갓 지은 한옥 벽과 70년대 지어진 목욕탕인 ‘중앙탕’의 벽이 맞닿아 있는 풍경이었다. “한 공간에서 과거와 현대가 살을 부대끼고 있는 모습이 좋았어요. 사람들이 낡았다고만 생각하는 벽돌 건물의 아름다움도 발굴하고 싶었죠.”

 계동은 궁 옆의 동네가 다 그렇듯 이야깃거리가 많다. 창덕궁 돌담길의 빨래터가 대표적이다. 서씨는 “계동·원서동 지역의 아낙들은 동네에 개울이 많은데도 꼭 이곳에서 나오는 뿌연 물로 빨래를 했다”며 “임금님이 쓴 물로 내 가족의 옷을 빤다는 건 이 동네 사람들만이 부렸던 작은 호사였다”고 설명했다.

1970년대 북촌에 들어선 ‘중앙탕’. 씻는 게 불편한 한옥 주민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사진 공간잇기]

 계동의 ‘물나무 사진관’은 명성황후가 태어난 터다. 이 사진관의 김현식 실장은 ”이 곳은 원래 큰 한옥 사랑채였는데 1960년대에 양은냄비 공장으로 바뀌어 동네 사람들에게 일거리를 제공했다. 다시 시계공장을 거쳐 독서실로 이용됐었다“며 ”토박이 손님들이 가끔 와서 ‘내가 앉아 공부하던 자리에서 술을 마시니 행복하다’고 할 때 동네의 긴 역사를 느낀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도 적지않은 이야기거리들은 묻혀있다. 창덕궁 1길 대로변에 있는 몽양 여운형 선생의 집터 표석은 수풀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서씨가 조사해서야 집터가 현재의 ‘안동칼국수 건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네 사람들 모두 여운형 선생과 ‘안동칼국수’를 알고 있지만 둘을 연결시키지는 못했다. 옆의 보헌빌딩은 1945년 해방 후 몽양이 조선건국준비위원회를 창립한 곳이기도 하다.

 서씨와 강씨가 모은 계동의 이야기들은 지도, 사진, 영상으로 재탄생했다. 일러스트 작가 강혜숙씨는 이야기를 토대로 계동 지도를 그렸다. 지도에 91번으로 표시된 언덕길에 올라가 뒤를 돌아보면 눈 앞에 기와구름이 펼쳐진다. 93번 골목에는 벽화와 웃는 계량기 등 소소한 볼거리가 있다. 상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gongganikki.com)에서 확인 가능하다.

 서씨는 지난 달 이 작품들을 모아 첫 ‘공간잇기 전시회’를 열었다. 호응이 좋아 24, 25일 북촌문화센터에서 앙코르전을 연다. 계동 일러스트 지도도 현장에서 받을 수 있다.

 상업화의 바람에서 슬쩍 비껴왔던 계동이지만 지난 주에는 스타벅스가 재동초등학교 옆에 문을 열었다. 프랜차이즈 업체가 처음 들어선 ‘역사적 사건’이다. 만해당 게스트하우스 주인 이유리(45)씨는 “외국인 숙박객들도 이곳 골목을 누비는 야채 트럭, 두부장사 등 사람 냄새 나는 풍경을 좋아한다”며 “새 시대가 한 겹 더 쌓여도 계동만은 계동의 분위기로 남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혜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