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행담도 개발사업 감사 결과 발표] S프로젝트 차질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행담도 개발사업의 차질이 예상되면서 서남해안 개발사업(S프로젝트)에까지 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정부는 그동안 "행담도 개발사업과 S프로젝트는 별개의 사업"이라고 수차례 강조했다.

심지어 감사원조차 감사결과를 발표하면서 "정부 관계자들이 개인사업에 불과한 행담도 개발사업을 'S프로젝트'의 파일럿 프로젝트(시범사업)로 잘못 규정했다"고까지 지적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의 거듭된 설명과 달리 싱가포르에선 "행담도가 있었기에 S프로젝트가 나올 수 있었다"며 행담도 개발사업을 S프로젝트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보고 있다. 정부는 행담도 개발과 S프로젝트 간에 선을 그으려 하고 있다.

S프로젝트의 돈줄이 바로 싱가포르 기업들인 점을 감안할 때 두 사업을 연관지을 경우 외자유치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S프로젝트에는 한국 정부나 기업의 돈으로 추진할 수 없을 정도로 막대한 자금이 들어간다"며 "그 절반 정도를 싱가포르 측이 투자하는 것으로 얘기가 오간 상태였다"고 말했다.

싱가포르 현지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한국 기업인들은 "행담도 사태가 터진 뒤 한국에 대한 투자분위기가 얼었다"고 전하고 있다.

심지어 "경제적 사안을 정치적 논리로 풀려고 한다"며 정치권까지 싸잡아 비난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는 것이다.

세계적인 해양개발회사인 싱가포르 UPS사의 제임스 코는 "국제계약으로 투자를 받은 뒤에는 국내법의 잣대를 들이대 한국의 구미에 맞게 끌고 가려 하는 것 같다"는 말까지 했다.

S프로젝트의 최종 제안서이자 단일안을 낸 CPG사의 팡토캉 회장은 "(사업추진이 안 되더라도) 제안서를 만드는 데 들어간 돈만 날릴 뿐"이라며 벌써 기대를 접는 듯한 분위기까지 풍겼다. 이런 상황 때문인지 행담도 개발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감사가 진행되는 동안 한국과 싱가포르 간에 긴밀하게 진행되던 S프로젝트와 관련된 논의마저 중단된 상태다.

결국 현재로선 한국 정부가 행담도 개발사업에 대한 감사원의 조사 결과를 싱가포르 측에 어떻게 설명하고 양해를 얻어낼 수 있을지가 관심거리로 떠올랐다.

S프로젝트는 자칫하면 구상단계에서 좌초할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다.

김기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