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사이트 뉴스도 언론관계법 적용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여론조사 기관인 나스미디어에 따르면 네티즌의 85.7%가 인터넷 포털 사이트를 통해 뉴스를 접한다고 한다. 최근 포털 사이트 내에서 뉴스 서비스의 비중이 커지고 포털 사이트의 사회적 영향력도 확대되는 추세다. 이에 따라 포털 사이트의 뉴스 제공에 대한 사회적 책임성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2일 국회에 모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위 소속 한나라당 진영 의원이 마련한 '포털의 뉴스 서비스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토론회에서다.

토론의 초점은 포털 사이트의 뉴스 서비스가 단순한 내용의 전달인지, 언론 활동인지에 모아졌다. 언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분명하다면 책임감을 갖고 각종 언론 관계법의 규제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미디어 다음의 최정훈 미디어팀장은 "포털 뉴스 사이트가 지나치게 뉴스를 연성화한다는 비판이 있지만 젊은 네티즌들은 정치적 사건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포털 미디어의 긍정성을 강조했다. 그는 "불과 1~2년 사이에 포털 뉴스가 급성장해 기존 미디어 업계에 위기감을 심어줬다"며 "그러나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대결을 강조하기보다 포털 뉴스를 통해 새로운 산업적 전망을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서강대 원용진(신문방송학) 교수는 "포털 사이트는 자신이 언론임을 부인하고 있지만 포털이 서비스하는 뉴스 영역은 기존 언론 이상의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이에 따라 포털을 단순한 뉴스 서비스가 아니라 저널리즘 영역 안으로 끌어들이자는 것은 생산적 제안"이라고 지적했다. 홍보기획사 브릿지 21의 김우석 대표는 "포털 미디어의 순기능도 있지만 인격권과 사생활 침해, 선정성뿐 아니라 정치.사회적 현상들과 결합해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부작용을 갖고 있기도 하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규제의 틀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