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대우 배당성장지수 랩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저성장·저금리 지속과 인구 고령화 등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기대할 수 있는 자산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런 트렌드 속에서 최근 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는 자산이 배당주다.
실제 올해 국내 주식형 펀드 환매가 지속되는 가운데에서도 배당주 펀드로의 자금 유입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KDB대우증권이 지난 8월 출시한 ‘KDB 대우 배당성장지수 랩’도 그중 하나다. 배당과 이익이 안정적이어서 현재의 높은 배당 수익을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안정 고배 당주’와 현재 배당 성향은 낮지만 향후 배당 증가 가능성이 높은 ‘배당 성장주’로 구성돼 있다.
 KDB대우증권는 계량화된 재무정보와 기업 평가를 바탕으로 코스피 시가총액 300위내 배당투자 유망 종목을 선정해 ‘대우 배당 성장지수’라는 걸 자체 개발했다.
 KDB대우 배당성장지수 랩은 이 지수를 구성하는 50종목 중에서 정량모델 점수와 배당수익률 기준 상위 30종목을 선별해 운용 하는 상품이다. 분기별로 대우 배당성장지수 리밸런싱 위원회를 개최해 편입 종목 교체 및 비중 조절을 정기적으로 진행한다. 펀드 매니저의 정성적 판단은 배제하고, 배당성장 지수 모델에 따라 정량적으로 운용된다.
 2006년부터 올해까지 과거 운용 성과를 시뮬레이션한 결과, 대우 배당성장지수는 연평균 주가수익률과 배당수익률 측면에서 코스피와 코디I(한국배당지수) 대비 우수한 성과를 나타냈다. 출시 이후 실제 운용성과도 그랬다.
 랩 상품을 통한 투자는 여러 장점이 있다. 자산 운용 내역과 잔고의 실시간 조회 가능, 고객 맞춤형 설계, 중도 환매수수료 무료 등이 그것이다. 올해 세제개편안에 따라 고배당주 배당소득 원천징수세율 인하(14%→9%), 금융소득 선택적 분리과세 가능(25%) 등의 세제혜택도 직접 주식투자와 동일하게 받을 수 있다. 일반 펀드나 ETF 투자보다 유리한 이유다.
 KDB대우증권 상품개발실 김희주 이사는 “한국 기업의 배당 성향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인 반면, 자본금 대비 배당가능 이익은 역대 최고 수준으로 기업들의 배당 여력은 충분한 상황”이라며 “최근 그룹 기업지배구조 개선 움직임과 더불어 향후 외국인·기관투자가 중심으로 배당 증대 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가 배당 촉진 방안을 내놓으면서 배당투자에 정책 모멘텀이 가세하는 새로운 변화가 예고된다”고 말했다.
 대우증권은 이 상품의 주식형 말고도 위험 자산 편입 비중을 달리해 주식혼합형, 채권 혼합형, 월지급형, 적립형 등도 출시할 예정이다. 최소 가입금액은 2000만원이고, 가입한 개인 고객 중 선착순 100명에게 사은품을 증정하는 이벤트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유희진 기자 yhj@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