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민 참여 정당으로 전환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새정치민주연합 내 최대 계파인 친노 진영의 좌장격인 문재인 의원(비대위원)이 25일 당의 위기 상황을 수습할 방향으로 ‘시민 네트워크 정당론’을 제안했다. 당의 주요 의사결정 과정에서 온라인을 통해 당원이 아닌 일반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자는 주장이다.

문 의원은 이날 오후 1시 30분부터 국회도서관에서 열릴 예정인 ‘제 5회 노무현 대통령 기념 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기조연설문에서 “지금까지 현실 정치에서 시민은 대상이고 관객이었다. 이제 시민의 주권, 시민의 삶을 정치적으로 복원시켜야 한다”며 “시민 속으로 들어가고 시민의 삶을 정당 네트워크에 결합시켜야만 한다. 당이 기반과 참여의 위기에서 헤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시민 참여 정당으로의 전환은 우리당의 오랜 숙제다. 일반 시민과 비당원 지지자들이 참여 할 수 없는 폐쇄된 정당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온-오프라인을 결합하는 다양한 기능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당원뿐만 아니라 시민과 지지자를 광범하게 결집시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의 중앙 집권적 권력을 분산시켜서 ‘분권 정당’으로 바꿔야 한다. 중앙당 권한을 시·도당과 각종 위원회로 과감하게 이전해야 한다”고도 했다.

현재 새정치연합이 처한 상황에 대해선 ▶급박한 사회 변화에도 여전히 낡은 이념 틀에 갇혀 있는 ‘정체성의 위기’ ▶새로운 지지기반 확충을 위한 혁신이 없는 ‘기반과 시민참여의 위기’ ▶중앙당과 지도부가 지나치게 독점하고 있는 의사결정 구조로 인한 ‘소통의 위기’라고 진단했다.

앞서 문 의원은 지난 2일 시민단체인 문성근 ‘국민의명령’ 상임운영위원장과 최민희 의원 등을 비공개로 만나 ‘네트워크 정당 구축’을 논의하기도 했다. 문 의원은 지난해 같은 행사에선 짧은 축사를 읽은 게 전부였다. 이 때문에 문 의원이 차기 전당대회 ‘룰 싸움’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본격 행보에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당 내 중도파를 비롯해 차기 전당대회 주자들 측에선 “비대위원인 문 의원이 차기 전당대회 룰을 언급하는 건 부적절하다”며 반발하고 있어 향후 치열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윤석 기자 american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