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저소득층 키 크는 치료 못받아

중앙일보

입력

성장 호르몬이 제대로 분비되지 않아 키가 크지 않는 어린이들이 있다. 또래 아이들 중 하위 1~3%에 들어가는, 이른바 저신장증이다. 성장 호르몬 결핍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만큼 인위적으로 성장 호르몬을 주입해서 치료한다. 한 두 번 치료 받아서는 안되고, 꾸준히 병원을 다녀야 한다. 건강보험이 적용되긴 하지만 본인이 내야 하는 돈이 부담스럽다. 이 때문에 저신장증 아이 중 치료를 받는 경우 대부분이 고소득 부모의 자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현숙 의원(새누리당)이 공개한 저신장증 진료 현황을 보면 2009~2013년 소득이 상위 10%(연평균 6179명)가 하위 10%(연평균 838명) 보다 7.4배 진료를 많이 받았다. 소득별 인구 비율을 감안해 환산하면 인구 10만명당 고소득층이 저소득층에 비해 3.7배 높은 수치다.

지역별론 대도시 지역에서 치료를 많이 받았다. 경기도(3만2531명)·서울(2만9782명)·대구(7746명)·대전(4518명) 순이었다. 서울에서도 고소득층 밀집지역인 강남(2627명)·송파(2578명)구가 높았다.

건강보험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이런 현상이 벌어진 이유는 무엇일까. 익명을 원한 소아과 전문의는 “저소득층은 상대적으로 삶의 여유가 있기 때문에 정보에 어둡고, 저신장증 증상이 있어도 금방 나아질 거라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현숙 의원은 “건강보험 재정이 고소득층 자녀의 '키 키우기'에 지원되고 있는 것은 문제”라며 “보험 보장 비율을 올려 저소득층의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장주영 기자 jyj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