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외무회담 연내 개최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2면

한국·중국·일본이 11일 오후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제9차 고위급 협의’를 열었다. 지난해 11월 이후 10개월여 만이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왼쪽)이 회의에 앞서 서울 도렴동 외교부청사를 찾은 류전민 중국대표(오른쪽)와 일본 대표인 스기야마 신스케 외무성 외무심의관을 만나고 있다. [최승식 기자]

한국·중국·일본이 연내 3국 외교장관회담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11일 한·중·일 고위급(차관보급) 협의의 결론이다. 외교장관회담은 정상회담으로 가는 징검다리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첫 3국 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외교부 당국자는 고위급 협의 후 “3국은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공동 노력을 하기로 했다”며 “스텝 바이 스텝으로 외교장관회담을 먼저 모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고위급 협의는 예년과 분위기가 달랐다고 한다. 지난해 11월 한국에서 열린 고위급 협의에서 중·일 수석대표는 악수조차 제대로 하지 않았다. 하지만 중·일 수석대표인 류전민(劉振民)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스기야마 신스케(杉山晋輔) 일본 외무성 외무심의관이 밤늦게 양자회담을 열어 관계 개선을 논의하는 등 3국의 비정상적 상황을 정상적으로 가져가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는 게 외교부 설명이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이경수 차관보도 12일 스기야마 심의관과 양자 협의를 통해 위안부 문제 등을 논의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이달 중순 열리는 유엔 총회를 계기로 한·중·일 3국 외교장관회담 개최 논의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오늘 회의에선 유엔 총회를 계기로 한·중·일 장관이 만나는 이야기를 포함해서 여러 아이디어들이 오갔다”고 말했다.

 외교장관회담이 성사되면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은 11월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회의 전에 열릴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총리가 대표로 나서는 중국 입장에선 리커창(李克强) 총리가 참석하는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회담보다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한·중·일 3국 정상회담은 2008년 한국이 주도해 시작된 뒤 2012년 5월 베이징 회담까지 다섯 차례 열렸었다.

글=정원엽 기자
사진=최승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