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자유화로 무절제 초래우려|쇼핑·타락 관광 막아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관광이란 인간의 기본욕구 가운데 하나인 레크리에이션을 충족하기 위해 일상 생활권을 잠시 떠나는「일련의 이동현상」이다.
관광주체(관광객)가 추구하려는 기본욕구와 일상 생활권의 잠정 이탈기간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관광행동의 양상이 결정된다.
실례로 서구인은 방문국의 자연·문화 등 새로운 환경에 접하는데 관광의 목적을 두고 있으나 관광 후진국에서는 그렇지 못하다.
최근 일부 일본인 관광객이「섹스 관광」으로 비난을 받는 것이나. 대만인들의「쇼핑위주 관광」은 해외여행 자유화를 눈앞에 둔 우리가 타산지석으로 삼아야할 좋은 실례다.
대만은 79년 해외여행자유화 이후 92만명이 해외여행을 했고, 이 가운데 35%가 한국·일본·홍콩 등 인접국을 방문했다.
그러나 당시 1인당 외화지참액을 3천달러까지 허용했던 자유중국 정부는 쇼핑관광으로 외화의 대량유출이란 부작용을 빚자 1년만에 1천 달러로 축소 제한했다.
그 결과 80년 여행자는 48만명으로 푹 떨어졌다.
일본 국제관광 진흥회에 따르면 일본을 찾은 관광객중 대만관광객의 외화 소비액이 가장 많고 다음이 한국이다.
더구나 대만은 전체 소비액중 25·8%가 쇼핑에 쓰이고있으며 음식(25·4%)숙박비(14·1%)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한국인은 전체 소비액중 25·8%를 쇼핑에 쓰고 있으며 음식(24·8%)숙박비(22·7%) 등 순이다.
한편 미국인은 숙박비가 35·9%로 가장 많고 쇼핑은 17·7%에 불과, 우리와 좋은 태도를 보이고 있다.
때문에 해외여행 자유화 초기에는 당국이 다음 몇 가지를 고려해야할 것이다.
첫째, 개인 관광보다 단체관광을 우선 실시해 특정 단체중심의 그룹별 여행을 유도 해야할 것이다.
둘째, 일정한 의제 물품의 국내 수입자유화가 이루어져 관광객이 해외에 나갔을 때 쇼핑욕구를 감소시켜야 한다.
셋째, 당국은 일상 생활권과 이탈된 생활권과의 차이를 좁히는 시책을 펴 해외여행을 건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형철(국제 관광공사 진흥부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