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교환기 중복설비 우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에 전자교환기 설비를 공급키로 결정된 미국의 ITT (제1기종)사와 「웨스턴·일렉트릭」(WE·제2기종)사는 최근 정부에 공한을 보내 국내 제조업체를 4원화하려는 정부의 방침이「규모의 경제」를 기할 수 없고 설비비용과 기술이전 비용을 높여 결과적으로 회선당 단가를 13%이상 높이게 된다고 우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계당국에 따르면 기술합작선인 WE는 이 공한에서 전자교환기 제조설비의 적정단위는 최소 50만∼60만회선인데 정부가 이를 4원화할 경우 업체당 20만 회선으로 줄어 경제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정부의 기술검토결과를 통보해 왔다.
이 공한에서 WE사는 4원화의 경우 설비투자액이 35%이상 늘어나고 기술이 전비용은 거의 50%가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회선당 비용은 최소한 13%이상 증가함으로써 경제성이 나빠진다고 밝혔다.
제1기종을 공급할 ITT사도 이와 비슷한 견해를 담은 공한을 최근 정부에 보내 왔는데 이들 양사는 모두 한 공장의 설비가 최소 경제 규모인 50만회선 이상이 되도록 지나치게 다원화하지 않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전자교환기 산업은 제1기종에 동양정밀과 한국전자통신, 제2기종에 금성사와 대한전선이 공동참여, 2원화로 추진되어 왔으나 작년말 정부는 이를 다시 세분, 4원화하기로 방침을 정한바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