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호남소외론 정부대응 문제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난 30년간 떠돌던 지역차별론이 신정부 출범 초기부터 또 주요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검찰.경찰.행정자치부 고위직 인사에서 호남 출신이 주요 보직에서 배제되고, 지역사업이 새 정부의 주요 정책과제에서 배제됐다는 주장이다.

공직사회에서 인사가 만사(萬事)라는 것은 불변의 진리다. 당사자는 물론 지역민들이 인사 결과에 관심을 갖는 것은 당연하다. 인사가 잘못됐다면 즉시 시정할 일이고, 그렇지 않다면 결코 논란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안된다. 특히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지역감정 부추기기에 이를 이용한다면 결코 용납될 수 없다.

망국적 논란이 계속 증폭되는데도 정부가 어정쩡한 태도로 이를 방관.방조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시정할 인사내용이 없다면 정부가 정정당당하게 설명하고 납득시키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

호남 출신들이 지난 정부에서 고속승진하는 바람에 승진시킬 대상이 부족했다고 설명하다가 뒤늦게 "고위간부 인사에서 약간의 편중인사가 있었다"(정찬용 청와대 인사보좌관), "정치적 배려를 하지 못한 것 같아 죄송하다"(김두관 행자부 장관)고 말을 바꾸고 있으니 혼란을 부채질하는 꼴 아닌가.

특히 주목할 부분은 차별인사 논란의 배경에 정치적 목적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정찬용 보좌관은 "호남지역의 일부 정치인이 지역감정을 악용하고 있다"며 특정지역 출신 국회의원 2~3명이라고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집권 여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정치적 목적, 개인의 이해관계에 매달려 지역감정을 자극한다면 개탄스럽기 짝이 없다. 다시는 그 같은 저질 정치인이 발붙이지 못하도록 鄭보좌관은 그 내용을 공개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지역차별론이 내년 국회의원 총선을 앞둔 집권당의 선거전략이라는 의혹도 있다. 호남 소외론으로 영남의 민심을 얻고, 이를 달래면서 호남 민심도 잡아두려 한다는 게 야당의 분석이다.

이 같은 오해를 불식하려면 보다 투명한 인사와 함께 정부가 호남소외론에 대해 더욱 명쾌한 태도를 보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