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민요원사퇴문제|당론 일치 어려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신민당은 10일 낮 서울외교구락부에서 17인 「의원직사퇴문제협의회」의 첫모임을 갖고 김영삼 총재의 의원직제명에 따른 사후대책으로 소속의원들이 총사퇴 할 것인지의 여부와 처리방법을 놓고 격론을 벌였다.
신민당은 이날 논의를 토대로 12일 상오 국회에서 열리는 의원총회에서 사퇴문제에 관해 매듭을 지을 예정이다.
김 총재 주재로 열린 협의회에서 주류측은 소속의원 66명의 총사퇴를 주장하면서 여당에 대한 신민당의 단합된 모습을 보이기 위해 사퇴서를 김 총재에게 일괄제출하자는 처리방법을 제시했다.
비주류 및 일부 중도의원들은 원내 투쟁을 벌여야한다는 입장을 취하면서 사퇴서를 내는 경우라도 금 총재에게 제출하면 당권문제와 결부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각자 국회에 내야한다는 이견을 보였다.
사퇴여부와 관련, 이민우·박영록·조윤형·이기택·박한상·황낙주·이택돈 의원 등 당직자와 이충환·김재광·김은하 의원 등이 사퇴론에 찬성해 수적으로 우세를 보이기는 했으나 비주류측의 반대와 함께 처리방법에 있어 이철승·신도환·고흥문 의원 등이 김 총재에게의 제출방식을 정면으로 반대했다.
사퇴론 자체에 관해서는 주류측 내부에서도 야당총사퇴로 국회해산을 유도, 재신임을 묻자는 강경론과 김 총재제명에 대한 야당결속과시와 제명된 김 총재의 입장강화를 도모하자는 온건론 등 두 갈래로 나타나고있어 비주류의 사퇴신중론 및 방법에 관한 이론과 함께 의원총회에서 또 한차례의 논란이 예상된다.
그러나 일부 소장의원과 주류측 의원들은 의원총회에서 총사퇴안에 대한 결론이 나지 않을 경우 김 총재에게 개별적으로 사퇴서를 제출하거나 연기명 서명작업으로 발전시킬 준비를 하고 있어 사표제출을 둘러싼 당내혼선은 장기화될 전망이 크다.
회의에는 정운갑 정해영씨가 불참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