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등록제실시|직업재훈련을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불항으로 직장을 잃은 해고자에 대해 오는 10월부터 직업훈련을 강화실시하는하편 월3만3천원씩의 훈련수당을 지급하고 실업자등록제의 실시,각시도및 공단지역에 대한 직업안정소를 설치하여 구인접수, 취업알선을 하는등 본격적인 고용대책을 펴나가기로 했다.
신현확부총리겸 경제기획의원장관은 27일 공화·유정정책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직업재훈련및 훈련수당지급의 대상인원은 79년에 2만5천명, 80년에 7만5천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79년에 30억원, 80년에 70억원을 정부예산에 계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부총리는 이날『하반기경제운용의 과제와 대책』보고릍 통해 긴축정책의 수행과정에서 특정부문의 불항이 심화되거나 애로가 발생할때는 필요한 부문대책을 기동성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하고, 그러나 안정을저해하는 전반적 회복책은취하지 않을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우리경제가 유류파동에 대응하는 자세에서▲단기적 고통이 크더라도 교란요인을 조기흡수,안정을 실현할 것인가, 점진적으로 현실화 할것인가 ▲국제수지 관리에서 강력한 수출촉진책·수입억제책을 쓸것인가, 적자의 일시적 확대를 받아들일 것인가▲성장및 고용에 있어 성장약의저하를 받아들일것인가, 고용확대를 위해 전반적인 회복책을 쓸것인가하는 선택의 기로에 서있다고 지적하고 정부는 경제체질의 개선을 위해 긴축기조를 유지하고 유류파동으로 인한 하양기중의 성장둔화, 실업의 증대, 국제수지의 적자확대가 『현재의전망범위내』일 경우에는 이를 감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같은 입장에서 재정·금융통화은 총통화 증가율을 25%범위내에 관리하고 양곡기금빛 비료계정운용을 개선하며 금융은 새년대의 산업사회지원을 위한 금융자산을 확대하되 중화학공업지원을 중심으로 정책금융제도를 정비하는 한편 금융운용의자율성을 제고하겠다고 실명했다.
또 산업및 투자정책은▲「에너지」절약형 설비투자를 유도하고▲「에너지」절약형 수송체제를 발전시키며▲「에너지」다소비산업은 검토를 강화하고 ▲석유비축사업 및 대「에너지」개발에 힘을 기울이는 한편 성장잠재력의 배양을위해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지원을 늘릴 방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