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면세점, 업계·지자체 공조 필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제주 내국인면세점이 기존 상권과의 갈등을 없애고 성장을 도모하려면 기존 업계 및 자치단체와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제주대 관광과 경영경제연구소(소장 김형길 교수)는 10일 ‘내국인면세점 개장에 따른 관련업체의 영향 및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보고서’에서 이같이 제시했다.

제주도의 의뢰로 작성한 이 보고서는 설문 결과 제주를 찾은 관광객 가운데 쇼핑장소를 바꿔 면세점을 이용한 경우가 19.3%였고, 면세점을 이용하기 위해 기존 토산품점 등에서 쇼핑을 안한 경우도 20.6%나 돼 면세점이 기존 제주상권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면세점은 ▶업장의 공항밖 이전▶고가명품 위주로 취급품 차별화▶기존 업계와의 공동브랜드 도입 등 협력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 제주도 등 자치단체도 ▶제주국제자유도시특별법 개정▶면세업소 확대 및 세액환급제 도입▶면세점 수익금의 쇼핑 활성화 지원금 전환▶디자인혁신센터 설립 등에 나서야 한다고 건의했다.

지난해 12월 24일 국내 처음으로 개장한 내국인면세점은 그동안 하루 평균 2억4천만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고공행진을 거듭해 도내 토산품·기념품 업계와 마찰을 빚어왔다.

양성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