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근로자 송금경쟁 지나치다|중동 산유국서 경계의 눈초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테헤란=조동국 통신원】73년 석유 파동이 거부가 된 중동의 산유국엔 해마다 각국으로부터 각종 근로자들이 모여들어 작년 말 현재 2백만명을 돌파한 것으로 집계됐다.
IMF(국제통화기금)의 통계에 따르면 주로 「아프가니스탄」 「방글라데시」 「이집트」인도 「요르단」 한국 「레바논」 「파키스탄」 「필리핀」 「스리랑카」 「수단」 「시리아」 남·북「예멘」 등지의 이들 진출 인력이 그들의 본국에 보내는 송금도 해마다 늘어 작년 한햇동안 약 1백억 달러를 넘었다.
외국 근로자들을 받아들이는 산유국은 「이란」 「쿠웨이트」 「리비아」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아랍」 토후국 연합 등이다.
12개국 중 본국에 송금을 가장 많이 한 나라는 파키스탄으로 작년에 11억1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사우디아라비아」등에 주로 건설 근로자들이 진출한 한국은 1억7천2백만 「달러」로 7위.
석유 「붐」이 가시면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수요도 그치겠지만 산유국은 개발 「붐」에 따른 「인플레」의 심각성을 점차 실감하기 시작, 이미 외국인 근로자들의 수용을 줄이기 시작했다.
1인당소득 세계1위인 「쿠웨이트」는 인구의 반 이상이 외국인이고 「아랍」토후국 역시 전 인구의 75∼80%가 외국인이므로 정치 및 사회문제 등에서 심각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한국인 근로자들이 인기를 끌고 있었던 「쿠웨이트」에서도 한국인 근로자들을 더 이상 받아들이기 곤란하다는 얘기가 나돈다.
한편 근로자 송금으로 외화를 벌어들이는 나라 중 일부는 인력부족 등 자체 내에 또 다른 문젯점을 안고 있으나 외화의 부족을 메울 수 있다는 잇점 때문에 외화 송금에 대한 각종 보호조치를 취하고 있다.
「필리핀」은 외화 송금액의 극대화를 위해 심지어 부재자에 대해서도 외국 진출인으로 간주, 소득 중 일부를 외화로 지불 받으려고 시도해 사회문제를 일으키기도 했다 인도는 외국 진출 근로자들이 외국에서 번 돈으로 외국에 재투자하는 것을 거의 억제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 진출 근로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조치는 궁극적으로는 외화 송금액 자체가 각종 방법으로 줄어들 가능성이 있어 「요르단」 「레바논」 북「예멘」등은 외환 자유 교환제를 채택하고 있다.
나라에 따라 1인당 평균 송금액도 달라지겠지만 30만명이나 진출한 남「예멘」이 작년에 1억7천9백만 「달러」밖에 송금하지 못한 것은 외화 수용국의 정부방침에도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