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시장서 중공에 이기려면|기술혁신· 정보수집 강화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경제전문가들은 미일의 대중공접근 정책으로 우리나라 수출품이 미일시장에서 중공과 치열한 경합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지적하고 이에따라 우리나라는 기술혁신· 「마키팅」활동 강화·해외시장 정보체제의 완비등을 통해 비가격 경쟁요인의 보강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대한상의가 18일 주최한 「미일의 중공접근과 한국경제」 에 관한 「심포지엄」에서 안태호교수(외국어대)는 『한국과 중공이 일본시장에서 경합하고 있는 46개 품목중 1, 2위를 다투는 품목은 생사· 견직물· 면사등 16개 품목』이라고 지적하고 『앞으로 2∼3년 내에 섬유·합만·신발류·전자 제품등이 치열한 경합을 벌일 것이고 85년 이후에는 중화학제품까지 경쟁품목이 되어 장기적으로는 가뜩이나 대일무역 역조로 시달리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일수출 시장을 크게 위협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진근교수(연세대)도 미일의 중공 접근으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무역수지 흑자로 인한 대한 수입규제 완화 ▲ 「달러」화 안정에 의한 대일 원자재 수입가격의 안정 ▲미일기업들과의 간접적 제휴에 의한 한국의 대중공 경제교류의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도 있으나 반면 미일의 대한 수입중 일부가 대중공 수입으로 대체될 우려가 있고 한국이 인수할 수 있는 철강·목제품·섬유·화학비료· 「시멘트」·조선 및 선박수리업등의 산업분야가 중공에 의해 인수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