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다음은 북한·이란 核"

중앙일보

입력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전이 완료되면 이란과 북한의 핵 문제를 최우선으로 대처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월드트리뷴 닷컴에 따르면 미 국무부 존 볼튼 차관은 최근 미.이스라엘 공공문제위원회(AIPAC)에서 "이라크전이 끝나면 이란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은 북한과 같은 비중으로 다뤄질 것이며, 이는 미국에 최우선적으로 시급하면서도 중대한 사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이란은 그동안 하루가 다르게 핵무기 개발 능력을 계속 발전시켜왔으며 이는 지난 2월 이란 내 2개 핵 발전 시설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에서 확인된 바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백악관 안보보좌관도 최근 "이란은 앞으로도 계속 '불량 정권'(Rogue Regime)으로 간주돼 미국이 철저히 감시할 것"이며 "이라크전 이후 미국은 (이 같은 국가들의)대량살상무기에 대해 세계가 어떻게 조직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까에 최선의 신경을 쓰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볼튼 차관의 발언은 앞으로 부시 행정부는 이라크.북한 문제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았던 이란의 핵문제를 앞으로 본격적으로 다루겠다는 경고를 이란에 보내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라크.북한과 함께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3대 '악의 축'으로 지목한 바 있는 이란은 그동안 미국으로부터 "핵확산금지조약(NPT)을 위반하고 강력한 핵무기 개발 계획을 갖고 있다"는 강한 의혹을 받아왔다.

지난해 말 미국은 상업위성으로 이란 남부의 나탄즈 인근과 수도 테헤란의 남서부에 자리잡은 대규모 핵시설을 촬영했다.

미국은 이 시설들이 중수로 원자로로 핵무기 보유국인 파키스탄에서 봤던 시설과 매우 흡사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2월 이란의 핵시설을 방문한 국제원자력기구 사찰관들도 "우라늄 농축을 위한 원심분리기 시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란 정부는 "급증하는 전력수요 때문에 우라늄 채광부터 연료 재처리까지의 '핵연료 사이클'을 완비할 계획이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평화적 목적으로만 사용할 것"이라며 "이란은 IAEA에 협력하고 있다"고 강조, 핵무기 개발 의혹을 부인해왔다.
워싱턴=이효준 특파원 " >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