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내각 개편 가급적 순방 전 매듭 … 17개 정부 부처 중 절반 교체 가능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박근혜 대통령이 10일 문창극 전 중앙일보 주필을 새 총리로 지명하면서 내각과 청와대 개편에도 속도가 붙게 됐다. ‘문창극 총리 카드’로 가장 큰 고민을 해결한 만큼 가급적 내각과 청와대 개편을 이른 시일 내에 끝마칠 방침이라고 한다.

 박 대통령은 16~21일 중앙아시아 순방에 나선다. 순방기간 동안 인사를 하기 어려운 만큼 그 이전에 개편 작업을 마무리 지어 국정 공백이 장기화되는 걸 막는다는 생각이라고 여권 핵심 관계자가 밝혔다. 이 관계자는 “총리 지명만 스타트가 되면 내각과 청와대 개편은 어느 정도 손질만 하면 될 정도로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다만 내각 개편의 경우 총리의 제청이 필요하다. 문 후보자가 청문회까지 마치려면 20여 일이 걸리는 만큼 실질적인 인선 논의는 문 후보자와 하고 형식적인 임명 제청은 정홍원 총리가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개편 순서는 청와대 개편이 먼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개각에 비해 인사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청와대는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과 이정현 전 홍보수석이 이미 사표를 냈다. 김기춘 비서실장, 유민봉 국정기획수석이 당분간 제자리를 지킬 것이란 예상이 나오는 가운데 박준우 정무수석, 조원동 경제수석을 포함한 3~4명의 수석이 교체되거나 내각으로 자리를 옮길 것이란 전망이다. 박 수석은 주일 대사로, 조 수석은 입각 가능성이 거론된다.

 개각 폭은 중폭 이상이 될 전망이다. 17개 부처 중 절반 정도가 교체 대상이란 관측이 나온다. 세월호 참사 책임이 있는 안전행정부, 교육부가 우선 대상이고 기획재정부·국토교통부·미래창조과학부 등 경제팀이 대거 교체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문화체육관광부·고용노동부 등도 교체 대상이란 말이 나온다.

 다만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와 상의하는 과정에서 개각 폭이 조정될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6·4 지방선거에 대해 “선거 결과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있겠지만 과거부터 쌓여온 적폐를 이번 기회에 제대로 바로잡아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데 매진해달라는 국민의 깊은 뜻이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 대통령은 “이번 지방선거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 여야 할 것”이라며 “국가 개조는 국민 모두가 뜻을 같이하고 힘을 모을 때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신용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