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국 땅값 1년 새 4.07% 올라 … 세종시 16.9% 최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정부세종청사를 곁에 두고 있는 세종 행정중심복합도시 인구가 이달 3만 명을 넘었다. 2012년 정부 부처 이전이 시작된 뒤 완공되는 아파트도 늘면서 꾸준히 인구가 유입되고 있어서다. 청사 주변 상가에도 식당·커피숍·술집이 늘어나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아직 전입신고를 하지 않은 거주민을 더하면 실제 인구는 5만~6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영향으로 세종시의 올해 땅값(공시지가)은 2013년보다 16.9% 올라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세종 행정도시와 같은 개발 사업의 영향으로 정부가 파악한 전국 땅값(1월 1일 기준)이 1년 전보다 4.07% 올랐다. 상승률이 지난해 조사(3.41%)보다 높다. 수도권 상승률은 3.23%로 평균보다 낮지만 1년 전(2.48%)보다는 오름폭이 커졌다. 지방 시·군의 상승률은 전국 평균보다 높은 6.12%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4년 개별공시지가’를 30일 공개한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광역지자체 중 세종 다음으로 땅값이 많이 오른 곳은 울산(10.39%)이다. 울산대교 건설과 일산동 재건축 사업이 완공되면서 지가 상승에 영향을 줬다. 서울 땅값은 3.35% 올라 1년 전(2.86%)보다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수서동 KTX 차량기지와 제2롯데월드 개발 사업이 호재로 작용했다. 인천과 광주광역시의 지가 상승률은 1.87%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기초지자체별로는 울릉도(경북 울릉군)의 상승률(33.14%)이 가장 높았다. 현재 진행 중인 도로 사업 영향이 가장 컸다. 해양연구센터와 관광단지 조성 사업도 상승 원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독도(울릉군 독도리)의 땅값은 48.53% 올랐다.

 땅값이 떨어진 곳도 있다. 충남 계룡시는 농촌 인구가 줄어들면서 지가도 0.38% 내려갔다. 광주 동구(-0.23%)는 전남도청이 무안군으로 이전한 뒤 구도심의 인구 유출, 상업지역 노후화로 가격이 떨어졌다. 인천 중구(-0.07%)도 용유·무의도 관광단지 조성 사업이 무산된 영향을 받았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은 올해도 서울 충무로의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부지로 조사됐다. 가격은 ㎡당 77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 올랐다. 이 땅은 2005년부터 10년째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가장 싼 땅은 ‘전남 진도군 조도면 소마도리 산29’로 ㎡당 83원이다. 이곳엔 숲이 우거져 있다. 서울에서 가장 싼 땅(도봉동 산50-1)의 공시지가는 5350원이다.

공시지가는 토지분 재산세 산정의 기준이 된다. 땅값이 오른 만큼 땅 주인이 내야 할 세금도 많아진다는 뜻이다. 땅은 공시지가의 70%가 과세표준으로 정해지는데, 건축물의 부속토지는 과세표준 2억원 이하면 0.2%, 2억~10억원이면 0.3%, 10억원 초과는 0.4%의 세율을 적용받는다. 예를 들어 과세표준 2억원짜리 땅을 갖고 있는 A씨는 지난해에 40만원의 재산세를 냈지만 올해 지가 상승으로 과세표준이 2억500만원으로 올랐다면 종전보다 높은 세율(0.2→0.3%)을 적용받아 세금 부담이 61만5000원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 밖에 도시계획세와 지방교육세, 양도소득세, 상속·증여세도 공시지가 상승에 따라 각각 늘어난다.

세종=최선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