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20만t 연내 긴급수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금년도의 석탄 생산목표 1천8백만t을 달성키 위해 석탄 생산 지원자금을 대폭 늘리고 석탄 가격 인상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한편 금년부터 부족되는 물량은 수입을 통해 충당키로 했다. 16일 동력자원부에 따르면 정부는 이제까지 민영탄광의 생산원가를 기준으로 책정하던 석탄가격을 생산원가가 높은 석탄공사의 생산가만을 기준으로 책정함으로써 민간업자의 생산의욕을 고취시키는 동시에 석탄생산 육성 자금도 작년의 2백17억2천8백만원에서 2백57억원으로 18.3% 증액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77년도의 생산실적이 목표 1천8백만t보다 4.27%가 미달한 1천7백24만5천t에 불과하여 연탄소비를 최대한 억제토록 하는 한편 금년내에 20만t을 외국에서 긴급 수입키로 확정했다.
작년도의 생산실적이 크게 미달했던 것은 ▲장성탄광을 비롯한 광산지대의 각종사고로 인해 10만t 정도가 감산됐고 ▲석탄가격 정책이 탄력적으로 운용되지 못함으로써 민간업자들의 생산준비투자가 부진했으며 ▲탄층의 심부화에 따른 생산량의 감소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동력자원부는 석탄증산을 위해서는 지원자금의 확대와 가격정책을 통한 생산의욕 고취의 길밖에 없다고 밝히고 앞으로는 가격인상 요인을 누적시켰다가 일시에 대폭적으로 인상하는 방법을 택하지 않고 그때그때 인상요인이 생길 때마다 탄력성 있게 가격정책을 수행해 나갈 방침으로 있다.
동자부 관계자는 『우리나라와 비슷한 생산실적을 올린 일본의 지난해 석탄생산 보조금이 1천2백억「엔」이라고 밝히고 『일본보다 채탄여건이 훨씬 나쁜 우리나라가 일본의 t당 보조금 1만3천3백33원의 9%도 안되는 1천2백56원에 불과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매년 석탄수요는 8∼9%씩 증가하는데 반해 생산은 4∼5%의 증산조차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하고 「에너지」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는 한편 부족물량은 당분간 수입에 의존하는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