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노트-간척지개발엔 해양지질조사 선행되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농수산부가 마련한 서·남해안간척농지 개발계획은 31년간 1조6천2백여억원을 들여 전남·경기해안 등 60만ha의 간척석지를 매립하여 이중 40만ha를 농경지로 만드는 계획.
이러한 막대한 투자와 시간이 따르는 원대한 사업에 학계에서는 해양지질학적인 기초조사가 선행되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힘들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하여 2월 하순 서울대 자연대에서 열리는 해양학 「세미나」에서 발표될 박용안 교수(서울대·해양학)의 『해양 지질학과 간척사업』을 간추린 것이다.
인구폭발·「에너지」위기·자원고갈 등은 인류의 눈을 바다로 돌리게 했고 그 결과 대륙붕개발, 해양 농업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행히도 얕은 바다에다 굴곡이 심한 「리아스」식 해안과 많은 섬, 그리고 조간대(밀물과 썰물이 드나드는 지역)가 넓게 발달되어 있어 조건이 좋으며 따라서 이의 농경지화는 절대 필요한 사업이기도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식층의 인식이 부족했으며 전문가에 의한 해양학적인 기초조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지도를 바꾸는 간척사업계획은 간척지 선정이나 계획수립에 앞서 반드시 해양지질학적 물리학적인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즉 해안과 해저의 해양학적인 변화는 그 방향과 양상이 다양한채 장기적으로 계속되기 때문에 먼 훗날을 내다보는 계획이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해양변화현상과 해양학적 환경조건, 해양지질작용으로 인한 장기적인 영향과 효과의 검토없이 과거의 소규모적인 간척사업에 자신을 얻었다고 해서 토목·측량기술만으로 간척사업을 계획하는 것은 극히 위험한 일이다.
「네덜란드」의 간척지개발은 「반·스트라텐」교수의 20년간에 걸친 연구결과가 반영된 것이며 서독의 경우도 간척지 개발을 위한 전문기관(마르션바우암트)이 기초조사를 한 후 측량과 「댐」건설에 착수했던 것이다. 전문가에 의한 과학적인 기초조사의 선행과 함께 과학기술처가 자원이나 해양탐사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기초과학 조사를 거의 무시해온 점도 과감히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