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밀히 번지는 종교부흥 운동-소련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소련에서는 지금 『정신적「르네상스」』라고 할 수 있는 종교 부흥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볼셰비키」혁명과 함께 이미 58년 전에 종교에 대해 사형선고가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생의 기원과 목적에 관한 문제를 외면할 수 없는 많은 지식인 청년 및 대중들이 종교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하고 있으며 그 숫자도 날로 늘어가고 있다.
이런 움직임은 소련 당국이 시민들에게 신앙의 자유를 보장해 주거나 종교에 대해 관용을 베풀고 있기 때문은 결코 아니다.
소련 헌법 1백24조는 『시민들의 양심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소연방 내의 종교는 국가와 분리되며 교육은 종교와 분리된다. 모든 시민들의 종교적 신앙의 자유와 반종교 의전의 자유는 보장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종교 조항의 규정은 그 실제 적용에 있어서는 종교와 국가의 일치를 뜻하는 공산주의에 의해 신앙의 자유가 반종교 선전의 자유에 희생되는 것을 뜻한다.
소련에서는 모든 교회와 종교재산은 모두 국유화되어 있고 다만 20명 이상으로 구성된 등록된 『종교단체』에 대해 그 운영권율 넘겨준다. 그러나 종교단체의 성원으로 등록된 자에 대해서는 공무원이나 교사가 될 기회가 부여되지 않으며 대학이나 기타 중요한 교육기관에 입학하는 것도 허용되지 않을 뿐 아니라 심지어 투표나 군복무를 제외한 모든 공공활동에의 참여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처럼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에 의해 종교 활동이 제한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련 시민들은 생의 문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은밀하게 종교를 찾고 있다. 이 같은 종교적 각성을 하고 있는 소련인들은 비단 지식인 계층에만 제한되지 않고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 확대되어 하나의 운동이 되어가고 있다.
어떤 종교인들은 만일 당국이 탄압적인 수단으로 이 같은 은밀한 종교 부흥운동을 막으려 한다면 소련의 저명한 지식인중 태반이 구속당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고 있을 정도다. 이들 종교적인 각성을 하고있는 시민들은 결코 소련이라는 국가나 공산주의에 반항한다는 뜻에서 종교를 찾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국가가 그들의 종교활동을 인정한다면 그들도 국가를 존경한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일부 소련의 공산주의 지식인들은 종교를 굳이 탄압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 공산주의자들은 수적으로 소수이며 영향력도 없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공산주의의 종교에 대한 이론이 바꾸어질 움직임을 기대한다는 것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 【영 가디언지에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