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업 중점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박정희 대통령은 30일 상오 10월중 수출진흥확대회의를 주재하고 상공부와 외무부로부터 수출현황과 전략에 관해 보고를 받았다.
이날 상공부는 오는 81년도에 전자제품 수출이 25억「달러」에 이르도록 전자공업을 육성하고 국산화 계획을 적극추진 하겠다고 보고했다.
상공부는 기억소자 등 31개 전략부품을 중점개발, 양산체제를 갖추기 위해 내년부터 81년까지 2억6천8백억만「달러」의 내외자를 투입, 관련 공장건설을 추진하겠으며 ▲건당 10만 「달러」이상의 기술도입 계약금에 대한 융자제 ▲시작개발품에 대한 보조금지급 ▲기업의 연구개발 의무화 등 기술혁신을 제도화하고 법인체 및 관세감면대상의 추가, 특별감가상각의 인정, 기계류 수용년수의 단축 등 세제면의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81년까지 투자될 2억6천8백24만「달러」는 50%를 외자에 의존하고 15%는 업체 자기자금, 나머지 35%는 국민투자기금 등에서 정부가 지원키로 돼있다.
한편 9월말 현재 수출실적은 36억5천7백만「달러」로 올해 목표액의 61%수준에 그치는 부진상을 보이고 있으며 수출 신용장내도는 38억3천3백만「달러」로 작년동기에 비해 16%가 증가했을 뿐이다.
외무부는 10월말 현재 건설부 수출계약실적이 목표에도 12·6%를 넘는 5억6천3백26만 「달러」이며 외자도입 금액도 4천6백94만「달러」라고 보고했다.
외무부는 26개 국가에 32개회사의 4천1백23명이 건설업을 위해 진출하고 있으며 이중 중동지역이 92%를 차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무부는 건설업 진출에 있어 공사가 대형화하고 은행의 보증여부가 요구되어있어 정부는 보증기금을 설치하여 저리융자를 실시하는 한편 중동지역에 현지합작은행을 설립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외무부는 또 건설수출에 대한 제도상의 특혜를 마련하는 한편 건설수출에 따른 위험부담도 정부가 보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