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쇄신기구 설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25일 김용환 재무장관은 금융기관의 서정쇄신을 강력히 추진하기 위해 재무부에 금융쇄신 기획실(반장 재무부이재국장), 은행감독원에 전담 부를 두고 내년 3월까지 매월 1회씩 추진결과를 점검하는 등 집중적인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은행의 소비성 지출에 대한 감사원의 전면검사결과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으므로 이를 근본적으로 시정하기 위해 은행보수체계와 소비성 경비를 현실에 맞게 재조정하고 경비지출에 대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또 금융쇄신기획실은 금융부조리 제거를 위한 전반적인 기획과 관리를, 감독원 전담 부는 이의 집행을 맡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감사원 감사와 관련된 문책인사여부는 아직 확정되지 않았으나 과거보다 앞으로의 부조리제거추진결과를 더 주시하겠다고 말함으로써 문책인사는 하지 않을 뜻을 비쳤다.
김 장관은 종합 금융회사의 설립을 지원하기 위해「종합 금융회사에 관한 법률」을 이번 정기국회에 제출할 것이며 동 법에 의한 종합금융회사의 취급업무는 ⓛ외자도입의 주선과 외자의 차입·전대 ②설비 및 운전자금의 투융자 ②기업어음의 할인·매매·인수·보증 ④사채 및 채무증서의 발행 ⑤유가증권의 인수와 모집·매출의 주선 기타 개별법의 규정에 의해 별도의 인가를 받는 업무(예「리스」·증권투자·신탁·재산신탁) 등 이라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현재 국내 몇몇 기업이 중심이 되어 외국은행 및「머천트·뱅크」와의 합작으로 2∼3개의 종합 금융회사 설립을 각기 추진하고 있는데 정부는 KDFC(한국개발금융)를 점차 종합금융회사로 발전토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종합금융회사는 상법에 의해 회사로 설립되어 종합금융회사의 요건을 갖추면 재무장관이 지정을 하고 업무 감독을 하게 되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