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30주|통계로 본 「서울」② 주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45년 해방 당시 인구90여만명에 18만9천5백90가구에 주택수는 12만7천호로 주택율이 66·98%였던 것이 15년뒤인 60년엔 44만6천8백74가구 (2백44만5천여명)에 26만2백99호, 74년말에는 1백27만3천6백78가구(6백54만여명)에 73만6천6백56호로 주택수는 2백5%, 5백80%로 각각 증가했으나 주택율은 58·2%, 57·8%로 크게 떨어졌다.
이는 해방과 6·25동란때 북한동포의 대거 월남·지방민의 서울이입등 폭발적인 인구증가와 함께 짓가·건축자재대등의 앙등에 따른 주택건축부진, 혼인인구와 분가가구의 격증 때문.
해방당시 서울주민증 6만2천5백90가구만이 집 없는 시민이었으나 60년에 와서는 18만6천5백75가구, 74년엔 전체의 약절반인 53만7천22가구가 셋방살이를 하고 있어 집없는 가구는 30년전보다 약9배가 는 셈.
게다가 전주택수의 20·3%인 14만9천5백3동의 불량주택을 제외한다면 정상주택보유율은 고작 47%로 서울시민의 주택난은 갈수록 심각한 실정.
정부와 서울시는 주택난 해소를 위해 건축허가행정의 간소화·주택자금방출·택지조성사업등을 활발히 벌이고 있으나 주택율은 여전히 제자리걸음.
특히 불량주택의 경우 최근의 조사에 따르면 4∼7평이 가장 많고 1∼3평짜리도 전체의 25%나 되는 것으로 밝혀져 당국이 벌이는 현지개량방식으로도 정상주택으로 바꾸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무허가 철거민들의 영세성으로 보아 특별한 입주대책을 세우지 않는 한 철거만으로는 서울시의 불량주택근절이 어려울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