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제절충 시작-7∼8월 국회소집 방침 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장기간 폐회가 계속 되고 있는 국회는 여당이 의제만 조정되면 7·8월중에 열기로 해 임시국회소집 가능성이 커졌다.
임시국회엔 ▲연초 차례로 단행된 4호에 이르는 대통령긴급조치 ▲최근 문제된. 박영복 부정대출사건 ▲물가의 전면적인 인상조정 등 경제문제 ▲「민청학련」등 학원문제 ▲북괴 서해도발과 어부납북 ▲교착 상태 외 의 남북대화와 이에 따른 올 가을의 「유엔」대책 ▲한·일 대륙붕 협정 비준 등 주요국정이 산적해 있다.
특히 경제문제 중에선 긴급조치 3호의 경제긴급조치가 1년을 시한으로 하고있어 시효 만료 시에 대비한 세법의 손질 등 법개정방향에 대한 논의도 중요의제가 돼있다.
여야간에는 이 의제에 있어 견해차가 커 국회개회시기를 정하지 못하고 있다.
중요 국정 중 여야간 의제조정에서 문제되고 있는 것은 개헌논의를 금한 긴급조치1호 및 「민청학련」사건으로 선포된 긴급조항4호에 대한 토의여부다.
신민당이 이 두 가지 문제의 정부보고와 질문 및 국회로서의 태도표시를 요구하구 있는데 대해 공화당은 이 문제토의를 뒤로 미루고 경제 및 안보 등 문제를 중점 토의하자고 맞서 있다.
여야당 간부들은 최근의제에 관한 절충을 했는데 공화당은 야당 측이 요구하는 이 문제토의에 얼마간 신축성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신민당은 24일 원내대책회의에서 의제합의 여부에 불구하고 임시국회를 열어야 한다는 것을 여당 측에 거듭 촉구키로 하고 구체적으로 국회를 언제 연다는 것을 여야공동성명이나 각서형식으로 보장을 받도록 원내 총무 단에 맡겼다.
대책위는 국회소집 전망이 뚜렷해져야 의원외교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견에 떠라 내주초안에 국회소집시기에 관한 여당의 보장을 받는 교섭을 펴도록 했다.
한편 통일 당은 긴급조치의 국회보고. 민청학련사건의 진상규명·박영복 사건 진상규명 등을 위해 임시국회를 즉각 소집하도록 여당에 촉구했다.
김영삼 통일당대변인은 여당과의 합의가 어려우면 신민. 무소속의원회·통일당만으로라도 소집요구서를 내자고 제의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