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중공의 대소련 합전선론의 파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일본이 소련으로부터 공격받을 경우 중공이 일본을 지지하기로 약속했다는 14일자 「뉴요크·타임스」보도는 미묘한 파문을 일으켰다.
중공 측은 아직 입을 다물고 있지만 일본측은 「니까이도」관방장관이 부인한데 반해 문제를 직접 다루고있는 외무성은 논쟁을 거부한 것이다.
「다나까」의 북경방문이후 중공의 대일정책이 크게 변한 것만은 사실이다.
예컨대 일·소간의 북방영토분쟁에 대해서도 중공은 일본측의 반환요구를 전면지지하고 나섰다.
당사자인 일본과 중공이 침묵하는 한 일·중공의 대소련합전선론을 확인할 길은 없다. 그러나 「다나까」수상이 북경방문직후의 연설에서 『주은래가 4차 방위계획을 양해했다』고 말한 사실은 이 문제와 상당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은래가 일본의 군비증강을 「양해」했다는 것은 일본의 「제1가상적국」이 중공이외의「어떤 나라」라는 심증을 굳혔다는 의미도 되기 때문이다.
국경지대에서 소련의 전면적인 군사압력을 받고 있는 중공으로서는 일본과의 대소공동전선 형성이 바람직한 것이 사실이다. 이것은 소련이 구주쪽의 위기를 완화시킴으로써 대중공정책을 강화한 것과 마찬가지 원리이다. 설사 일본에서 군국주의가 부활한다하더라도 이를 적국으로 돌린다면 중공은 양면전쟁의 위기에 빠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일·중공의 대소공동전선이 중공의 「이니셔티브」아래 이뤄질 가능성은 매우 큰 것으로 평가한다.
어쨌든 주미일대사관대변인의 강경한 부인에도 불구하고 이 문제는 상당한 여운을 남기고 있다.
「다나까」와 주은래 사이에 만약 이러한 절충이 묵계 되었다면 세계사는 미·영·소의 대「파쇼」공동전선형성이래 가장 큰 격변을 기록하는 셈이다. <홍사덕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