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크게 부족…대학·실업고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전국 대학 및 실업고교·실업고등전문학교의 시설이 법적 기준에 여전히 크게 미달하고 있다. 문교부가 지난해부터 지난7월까지 전국 84개 대학 및 5백39개 실업고교, 44개 실업고등전문학교를 대상으로 시설실태를 조사한 바로는 교지·체육장·교사·도서·부속대지·부속건물 등 외곽시설은 기준에 비해 대학이 79%(국립78%, 사립79%), 실고 및 실고전이 43%(실고 41%, 실고전 60%)등 전체적으로 71%(총 기준소요액 1천5백30억 원 중 보유액 1천86억 원)를 확보하고 있으나 교재·실험실습도구 등 내부시설은 대학이 27%(국립 17.5%, 사립 31.5%), 실고 및 실고전이 37%(실고 34%, 실고전 50%)등 전체적으로 29%(기준액 6백58억 원 중 보유액 1백95억 원)에 지나지 않고 있다.
외곽·내부시설을 기준소요액별로 통산하면 대학은 64%의 시설확보율을, 실고 및 실고전은 41%의 확보율을 보였다.
이 조사결과 대학이 보유하고 있는 시설자산은 1천79억1천4백 만 원, 실고 및 실고전은 2백2억 원이며 부족시설을 모두 보충하려면 대학은 6백18억 4천9백 만 원, 실고 및 실고전은 2백89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문교부는 대학의 교사·체육장·부속시설은 72년까지, 도서관 및 도서는 73년까지, 교지 및 박물관·과학관은 74년까지 1백% 완비토록 했던 연차별 보충계획(70년 수립)을 단계적으로 늦춰 76년까지 외곽시설을 1백%, 내부시설은 60%까지 보충토록 변경했으며 실고 및 실고전은 우선 76년까지 토지시설을 제외, 70%확보토록 했다.
이 계획에 맞추어 시설을 할 경우 76년까지의 소요액은 대학이 4백20억 원, 실고 및 실고전이 1백12억 원이다.
학교운영자들은 이 같은 시설부족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외국의 예를 본받아만든 시설기준의 완화와 함께 사립대학시설비까지도 국고보조가 요망된다고 말하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