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 지하수 개발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충북 청원군 일부 기업들이 군의 지하수 개발 억제 방침으로 용수난에 시달리고 있다.

청원군은 광역상수도 공급 때까지 지하수 보존을 위해 개발을 억제한다는 방침이나 개발이 2,3년 뒤에나 이뤄질 전망이라 당장 기업 활동에 피해를 주고 있다.

통신제조 업체인 T전자는 지난해 하루 50t 채수 규모의 지하수 개발 허가를 신청했다가 반려되자 올초 규모를 30t으로 낮춰 신고했으나 역시 거부당했다.이 회사는 4년 전 3백명의 직원이 최근 7백50명으로 늘면서 물 부족으로 취사도 제때 못하고,수세식화장실 이용에도 불편을 겪을 정도다.

또 하루 6백t의 지하수를 쓰고 있는 육류가공 업체 H사는 2∼3년 전부터 물이 달려 조업시간이 하루 2시간씩 단축해야 처지에 임시방편으로 지난해 5백t 규모의 물탱크를 설치해야 했다.

회사측은 “정상조업을 하려면 하루 1천t의 물이 필요한 데도 아직 지하수 굴착허가를 신청하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청원군에 따르면 지난해 4백83곳의 지하수 개발이 신고됐으나 9군데만이 허가를 받았다.군이 지하수 자원 보호를 명목으로 개발 신청을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결국 토지공사에선 이 지역내 택지개발계획을 백지화했다.

업체들은 “주민들도 개발에 동의하고 상수도가 보급되면 용수로를 막겠다는 데도 지하수 개발을 허가해주지 않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에 청원군 관계자는 “지역내 생수공장들이 많아 예전부터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며 “지하수 보존을 위해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청원=안남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