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사퇴 수차례 얘기" … 청와대 "그런 사실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기초연금과 관련해 사퇴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는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이 29일 오후 트레이닝복 차림으로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자택을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다 입을 굳게 다물고 있다. 진 장관은 이 자리에서 장관직 수행에 대한 질문에 “더 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박종근 기자]

진영 복지부 장관과 청와대·여권의 갈등이 감정싸움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진 장관이 김기춘 비서실장을 통해 수차례 사퇴 의사를 전달했지만,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달되지 않았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항명 파동에 진실 공방까지 뒤섞였다.

 진 장관은 29일 오후 서울 용산의 자택 앞에서 본지 기자와 만나 “(사퇴 의사가 전달됐는지 여부는) 내가 알 수 없는 부분”이라면서도 “사우디 출장 가기 전에도 사퇴 의사를 얘기했고, 여러 차례 얘기하긴 했다”고 말했다. 친박계 국무위원인 자신조차 대통령과 직접 대화할 수 없는 상황임을 부각함으로써 권력 핵심 내부에서의 소통 부재를 우회적으로 지적한 것으로 풀이할 수 있는 대목이다.

“김기춘 통해 전달” vs “사퇴, 총리 통해야”

 이에 대해 청와대는 “그런 사실이 없다”고 반박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박 대통령의 당 대표) 비서실장까지 했고 3선 의원인데 상식에 맞지 않는다. 장관이니까 당연히 사퇴한다면 총리를 통해야 하는데. 혼자서 머릿속에서만 그렇게 (의사를) 개진했다는 상상을 했는지는 몰라도… 참 희한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책위의장 지낸 사람이) 이제 와서 오리발 내밀면 되느냐”고 덧붙였다. 하지만 권력 내부 사정에 정통한 친박계 한 중진 의원은 “아마 진 장관과 대통령이 전혀 논의가 안 됐던 것 같다”면서 “(청와대 구조상) 아무도 청와대에 (다른) 의견을 전달할 사람이 없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친박계 “일 터지면 먼저 도망가는 사람”

 새누리당 내 친박계 인사들도 진 의원을 성토하고 나섰다. 홍문종 사무총장은 “대통령이 믿고 맡겼으면 끝까지 대안을 찾고 추진하는 게 옳다. 온 국민이 바라보고 있는데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영남권의 친박계 의원은 “소신이 다르다고 갑자기 사표를 내는 건 국정운영에 막대한 지장을 주는 행위”라고 말했다. 과거 진 장관이 박 대통령과 여러 차례 결별했던 걸 지적하며 원색적 비난을 하는 목소리도 적잖다. 박 대통령과 가까운 한 중진 의원은 “진영이란 사람은 옛날부터 일 터지면 먼저 도망가는 사람”이라며 “그가 더 이상 어떻게 정치를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또 “별명이 돌박(돌아온 박근혜계) 아니냐. 이 정부의 심벌처럼 된 사람이 정말 너무한 것 아니냐. 가만두지 않겠다”(수도권 출신 의원)는 비난도 터져나왔다.

 당내에선 원래 ‘이회창 사람’이던 진 장관이 박 대통령의 당 대표 시절 비서실장→당 정책위의장→인수위 부위원장→복지부 장관으로 출세가도를 달려온 데는 박근혜 대통령의 각별한 관심 때문이란 게 정설로 돼 있다. ▶호남 출신의 ▶수도권 의원이란 새누리당에선 보기 힘든 ‘스펙’을 갖추고 있어 중용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영남권의 친박 의원은 “근본적으로 대통령이 인사를 할 때 떠나려는 사람에게 과도한 관심을 두는 걸 그만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 장관은 이날 기초연금을 국민연금과 연계하는 건 잘못됐다는 걸 되풀이하며 사퇴 번복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스스로 ‘루비콘 강’을 건넌 셈이다. 오후엔 운동복으로 갈아입고 조깅에 나서는 등의 여유도 보였다.

진 장관 “기초·국민연금 연계 누누이 반대”

진 장관은 집을 나서면서 기자에게 “자기 자신도 반대해 왔던 걸 어떻게 꼭 해야 한다고 말할 수 있겠나”며 “양심에 관한 문제”라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청와대가 사표를 수리하지 않고 있다.

 “국민연금과의 연계는 안 된다고 여러 번에 걸쳐 얘기했고, 안이 확정되기 전에 ‘내가 연계를 반대했는데, 만약 연계안으로 결정되면 난 복지부 장관으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누누이 말했다. 그렇게 말해놨으니 (장관직 수행을) 더 할 수가 없다.”

 -정홍원 총리와 대화할 때 사의를 접은 것 아니었나.

 “그 자리에선 뭐 아무 말도 못하게 해서….”(웃음)

 -무상보육 재원도 갈등이 있었다고 하는데.

 “정치권에서 한 약속이니까 지켜야 한다고 본 건데…. 기재부는 기재부의 입장이 있고 복지부는 복지부의 입장이 있는 거니까 갈등까지는 아니고….”

 -국회로 돌아가나.

 “그래야죠.”

글=권호·이서준 기자
사진=박종근 기자

관련기사
▶ 불편한 심기 표출?…박 대통령, 등 돌린 진영에 공개적 일침
▶ 대통령의 기초연금 방어, "국민연금 장기 가입자 이득"
▶ 박지원 "채동욱 검찰총장은 '찍어내기' 복지부 장관은 '가출'"
▶ 늘 쓰던 복지잣대 '소득인정액'…기초연금엔 다른 기준 왜?
▶ 박 대통령 '나홀로' 검증 집착하다…인사 리더십 상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