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 총' 시장 아프간 카불서 성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오랜 세월동안 총은 아프가니스탄 문화의 일부였다.
관련기사

관련 정보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수십년 동안 총이 삶의 일부였다. 그러나 지난해 탈레반 정권이 붕괴한 이후, 아프간 주민들은 시장을 열어 자신들이 갖고 있던 옛날 무기를 팔고 있다.

서구인들은 제2차 아프간전쟁(1878~1880) 이후 영국인이 아프간에 남기고 간 총을 사들이고 있다.

카불과 인근 도시에 있는 수많은 시장들이 그렇듯 자발 사라즈에서도 구식 및 신식 무기 모두를 손쉽게 구입할 수 있다.

구식 무기 중에는 런던 북부 엔필드의 왕립 소화기공장(Royal Small Arms Factory)에서 제조한 엔필드총도 포함돼 있다. 브리티시 인디언 육군 부대는 1857년 이후 스나이더 엔필드로 무장했다.

이들 중에는 1백50년이나 된 것도 있는데 판매용으로 내놓은 대다수의 총은 소유주가 잘 관리해 훌륭하게 작동한다.

카불 시장의 상인인 굴람 모하메드는 "이 나라 사람들이 비둘기나 사슴 등을 사냥하기 위해 이 소총을 계속 보유해왔기 때문에 총의 보관 상태가 좋은 것"이라고 설명한다.

엔필드총은 50~7백 달러 선에 거래되는데, 이 총이 미국의 남북전쟁 시기에 사용됐다는 이유 때문에 남북전쟁 관련품 수집광들에게 특히 인기가 좋다.

그러나 구매자들이 해묵은 문제를 겪는 것은 여전하다. 매주 너덧정의 소총이 판매되고 있는 카불의 한 상점에서는 아프간 및 파키스탄 사람들이 원본 무기들을 그대로 복제해하고 있다.

'카이버 패스 스페셜스(Khyber Pass Specials)'라고 알려진 이 복제품은 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다.

카불 외곽에 있는 미군 기지에 주둔하고있는 동안 총 몇 정을 구입한 적이 있는 구식 소총 수집가인 봅 맷슨 중령은 확실한 특성을 알아두면 구매자들이 진품을 식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왕관 마크를 보고 가짜인지 진짜인지 식별할 수 있다.
맷슨은 "총 장비 위의 심벌 마크 등 다양한 표식을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이런 종류의 총에는 브리티시 크라운과 빅토리아 여왕 시대를 뜻하는 'VR' 등 제조업체 이름과 제조일자가 확실히 표기돼 있다.

이런 총들은 이곳 미군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이달 초, 미 당국은 병사들에게 이 같은 무기를 미국에 반입키 위해서는 수집가 면허를 받아야 한다고 요구하기 시작했다.

이에 제 175 우편 부대의 지휘관인 애런 이븐 대위는 "대부분의 병사들이 1~2정을 가져가려고 하고 있다. 이건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냥 서류 작업만 거치면 된다"고 말했다.

이곳에 있는 엔필드총의 일부는 카불의 영국군 주둔지를 방어하는데 사용됐던 것으로, 1880년 영국군이 퇴각하면서 버리고 간 것이다.

한 세기 이상이 지난 지금, 아프간 주민들은 전쟁 전리품을 통해 과거 자신의 적들로부터 이득을 얻어내는 방법을 찾아내고 있다. 그것은 바로 서구인들에게 그들의 무기를 되파는 것이다.

KABUL, Afghanistan (CNN) / 이정애 (JOINS)

◇ 원문보기 / 이 페이지와 관련한 문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