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공중급유기 도입 재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미국 보잉사의 공중급유기 KC-46A.

군의 주요 무기 도입 사업 방식을 결정하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위원장 김관진 국방부 장관)는 내년 10월까지 군이 사용할 공중급유기 기종을 결정하기로 했다. 공중급유기 도입사업은 전투기들이 공중에서 연료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해 전투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4대를 도입하는 데 드는 비용은 1조4000억원이다.

 백윤형 방위사업청 대변인은 12일 “국내 기술수준과 전력화 시기를 고려해 해외에서 구매하기로 했다”며 “내년 2월 입찰공고를 한 뒤 내년 10월 종합평가를 통해 기종을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미국 보잉사와 유럽의 에어버스사에서 만든 제품이 유력 후보다. 백 대변인은 “공중급유기가 군에 전력화되면 전투기의 작전시간이 현재보다 약 1시간 증가해 장거리 작전이 가능해진다”며 “전투기 이륙 때 연료 대신 미사일 등 무장을 탑재할 수 있어 효과적인 작전수행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예산 조율·심의 과정에서 기획재정부와 국회 등의 반대에 부딪힐 가능성이 있다. 군은 지난 1998년 공중급유기가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매년 예산 확보에 나섰지만 필요성 논란에 휩싸여 15년째 제자리걸음을 해 왔다. 내년 정부 예산안 편성을 주관하고 있는 기획재정부도 공중급유기 관련 예산을 삭감하라는 입장이다. 우리나라의 작전환경이 공중급유기가 필요할 정도로 넓지 않고, 다른 곳에 우선 투입해야 할 예산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정용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