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록 삭제 관련 조명균 진술 있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황교안 법무부 장관이 24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검찰 수사 과정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지시로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인 이지원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을 삭제했다고 진술했는지를 묻는 의원 질문에 “ 삭제에 관련된 진술이 있었다”고 답했다. 하지만 황 장관은 이날 국정원 국정조사에서 노 전 대통령이 직접 지시했는지, 조 전 비서관이 직접 삭제했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확답을 피했다.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노 전 대통령의 삭제) 지시가 있었나. 지시 있었다는 (조명균 전 비서관의) 진술이 있었나.”

 ▶황 장관=“조 전 비서관이 진술할 때 삭제에 관한 이야기가 있었다는 얘기가 언론에 보도됐고, 그것은 알고 있다.”

 ▶김 의원=“삭제 여부에 관한 진술은 있었단 말인가.”

 ▶황 장관=“조 전 비서관이 삭제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 이런 정도까지는 알고 있었다.”

 ▶김 의원=“쉽게 말해 삭제라는 얘기를 아예 안 했다는 건 아니네요.”

 ▶황 장관=“그렇다.”

 야당의 폭로도 있었다.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의 법무부 기관보고에서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지난 대선 때 새누리당 선거대책위 종합상황실장이었던 권영세 주중대사의 발언이 담긴 녹취록을 추가 공개했다. 그가 공개한 녹취록엔 권 대사가 “근데 국정원에서 그때는… MB정부 … 그래서 … 원세훈으로 원장 바뀐 이후로 기억을 하는데 내용을 다시 끼워맞췄거든요. 아마 그 내용을 가지고 … 청와대에 보고를 … 요약보고를 한 거지, 요약보고를 한 건데. 그걸 이제, 아마 어떤 경로로 정문헌한테로 갔는데 … ”라고 말한 것으로 돼 있다. 박 의원은 “정권유지와 더 나아가 장기집권을 꾀하기 위한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권영세 대사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식당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얘기인데, 어떤 바보가 대선을 코앞에 두고 기자에게 정상회담록을 조작했다고 말하겠느냐”며 “민주당은 훔친 녹취를 가지고 부분부분 발췌하고 왜곡 편집해서 폭로하는 비열한 행태를 그만두라”고 말했다.

강인식·이소아 기자

관련기사
▶ 문재인의 반격 "혹 떼려다 혹 하나 더 붙였나요?"
▶ 김한길, 사과…비노 "문재인, 책임지겠다더니"
▶ 새누리 "문재인, 논란 끝내자 말할 위치 아니다"
▶ 김영환, "장난치나, 황당하다" 문재인에 직격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