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친회」 논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신임 오 교육감은 5일 기자회견에서 다음 세 가지 주목할만한 신임포부를 밝혔다. 즉 ①내년도부터 서울시내에서는 국민학교의 기성회에 대체하여 사친회를 두되, 이를 통하여 말썽 많은 잡부금의 근절을 기하겠다 ②이러한 회비는 대체로 월액5백원정도로 한정케 하고 이로써 교사 1인당 월액 3만원 정도의 최저생계비를 보장하겠다 ③중학무시험진학제의 시행 후, 이질적인 아동집단을 함께 수용함으로써 생긴 학생지도·교과운영상의 애로를 극복키 위해 지진아동 특별지도를 필요로 하는 학생들에게는 과외수업을 인정, 양성화하겠다는 것 등이다.
이에 대해서 6일 문교부는 『현재로서는 각급 학교 사친회의 부활과 잡부금 양성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있다』고 못박고, 그 이유로서 ①이러한 문제는 중대한 문교정책적인 문제이므로 서울시만이 단독으로 실시할 수 없다 ②교직원의 처우개선은 반드시 사친회 부활만이 최선의 방법이 아니므로 다른 방법을 모색하겠다는 것 등을 든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의 불미스러웠던 사친회운영의 실태라든지, 벌써 몇 차례씩이나 공약으로 전락했던 당국의 잡부금 근절공언 등의 쓰라린 전철에 비추어 신임 오 교육감이 그 취임 제1성으로 사친회 부활문제를 들고 나온데 대하여 일반의 반응이 그다지 탐탁할 수만은 없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나 20여년에 걸친 일선교육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우리교육계의 획기적 쇄신을 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서 이 문제를 들고나온 그의 소신은 경청할만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의무교육의 국고부담원칙이나, 다른 방도를 통한 교원처우개선대책을 사실상 기대할 수 없는 오늘의 실정에서, 다른 시·도에 앞장서서 자치적으로 현실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해보겠다는 서울시교육감에 대하여 중앙정부문교당국이 무조건 그 부를 말하는 것은 깊이 재검토해야할 일이다. 오 교육감이 말한 것 중 몇 가지 부작용만 제거할 수 있다면 교육자의 심각한 사기저하를 극복, 진정으로 교육의 발전을 원하는 국민은 그 어느쪽이 보다 유익하고 현실적인 시책인가를 현실적인 면에서만이 아니라 장기적인 교육의 견지에서 깊이 평가함이 있어야 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