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송된 탈북 청소년 9명의 안위 남북 장관급 회담서 꼭 짚어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12~13일 서울에서 남북 장관급 회담이 열리면 우리 정부는 라오스에서 지난달 말 북송된 탈북 청소년(꽃제비) 9명이 북한에서 가혹행위를 받지 않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 최소한 이들을 정치범수용소에는 보내지 말라고 요구해야 합니다.”

 지난 18대 국회에서 탈북자의 인권과 북송 반대 운동의 최전선에 섰던 박선영(57·사진) 전 의원의 얼굴엔 안타까움이 역력했다. 북송된 청소년들이 뇌리에 어른거리는 듯 했다. 자유선진당 비례대표로 의원직을 마친 뒤 과거 재직했던 동국대 법대 교수로 돌아간 박 전 의원을 서울 장충동 동국대 서울캠퍼스에서 만났다. 박 교수는 이번에도 탈북 청소년들의 한국행을 성사시키기 위해 막후에서 애쓴 인사 중 한 명이다.

 박 교수는 장관급 회담에 특히 주목했다. 그는 “개성공단과 금강산 관광 재개는 정치·경제적인 문제지만 탈북 청소년 문제는 사람 생명과 직결된 이슈”라며 “회담에서 반드시 거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박 교수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탈북 청소년의 신변 안전을 확인해 달라’는 청원서를 냈다. 청원을 접수한 유엔의 결정에 따라 북한은 이르면 30일 늦어도 50일 안에 이 문제에 답변할 의무가 있다.

 탈북 청소년들이 라오스에서 북송된 것과 관련해 박 교수는 “라오스 상대 외교 경쟁에서 우리가 북한에 판정패한 것”이라고 했다. 중국을 거쳐 동남아로 유입되는 탈북자들의 핵심 경유지인 라오스를 상대로 북한은 최근 몇년간 탈북 저지를 위해 공세적인 고위층 외교를 집요하게 해왔지만, 한국은 공적원조(ODA)를 주는 선에서 방심했다는 것이다.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국회의장 상당)은 지난해 8월 라오스를 방문, 촘말리 사야손 대통령과 회담했고, 2011년 9월에는 김정일 당시 국방위원장이 방북한 사야손 대통령을 만났다.

 박 교수는 지난해 2월 탈북자 북송 저지를 위해 11일간 단식 투쟁도 했었다. “요즘도 건강이 좋지는 않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지난해 5월에 만든 사단법인 ‘물망초’ 이사장으로서 여전히 탈북자 인권을 위해 뛰고 있다. 지난해 9월 부모 없는 5~22세 탈북자를 위한 물망초학교를 경기도 여주에 세워 현재 15명을 교육시키고 있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