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야스쿠니 참배 반대 두번이나 얘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한해협에 다시 파랑주의보가 내려졌다. 독도와 역사 교과서 문제를 둘러싼 한.일 간 갈등이 잠시 소강상태를 맞는 듯했다. 그런데 일본 정부가 노무현 대통령의 정상회담 발언을 왜곡하면서 시비를 걸어왔다. 한국 정부는 즉각 반격에 나섰다.

◆ "일 외상 발언은 거짓"=지난달 30일 일본 중의원 외무위원회. 민주당의 마시코 테루히코(增子輝彦)의원이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가 한.일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고 물었다. 답변에 나선 마치무라 노부타카(町村信孝) 일본 외상은 "양국 정상이 무릎을 맞대고 솔직히 이야기할 수 있는 자리가 전에도 몇 차례 있었는데 노 대통령은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서 "본인의 기억으론 (노 대통령의) 문제 제시는 전혀 없었으며 그래서 아쉬운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자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31일 "일본 외상의 발언은 사실관계부터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지난해 이부스키(指宿) 정상회담에서 노 대통령이 고이즈미 총리에게 분명히 야스쿠니와 관련된 언급을 했다"는 것이다. 이규형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공식 논평을 내 "외상의 발언은 사실과 다르다는 점에서 심히 유감스러우며 한.일 관계 발전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2003년부터 준비=한편 청와대의 '신사 참배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과 더불어 독도에 대한 노 대통령의 '지대하고 끈질긴' 관심 때문에 한.일간의 파고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노 대통령은 2003년 하반기부터 독도 문제에 관심을 보이며 수시로 대응 태세 준비를 지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2월 구체적 대책을 마련하라는 노 대통령의 강력한 지시에 따라 국가안보회의(NSC) 내에 '독도 태스크 포스팀'이 구성됐고 이 팀이 두차례에 걸쳐 비밀리에 독도를 방문했으며 '독도 관리 매뉴얼'작성 작업이 시작됐다"고 그는 설명했다. "정부의 독도 대응은 최근 일련의 사태에 즉흥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아니며 오래 대비해 온 것"이라는 것이다.

안성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